켄텍, 정부와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조성’ 본격 추진
2025년 10월 28일(화) 17:20
정부와 산학연 함께 차세대 전력망 산업 생태계 구축 방안 모색
산업 발전 위해 기업 규제 완화·스타트업·인재 육성해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가 차세대 전력망 산업을 위한 기업·인재 양성부터 창업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28일 켄텍에 따르면 지난 27일 나주시 빛가람동 켄텍에서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조성’을 위한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사진>

간담회에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 등 정부 관계자를 비롯한 대기업·스타트업 등 관련 분야 기업 관계자, 전남대 등 대학 연구진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민·관이 협력해 차세대 전력망 산업을 위한 인재 양성 및 원활한 사업 진행 등 다방면의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켄텍은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개발을 위한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에너지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K-그리드 인재·창업밸리’ 조성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에너지 분야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목표로 산학연 협력 강화, 실행 전략 검토, 인재양성·기술창업·연구협력을 연계하는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 등에 공감했다.

특히 차세대 전력망 분야의 기술 실증 및 창업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한 공동 프로그램 설계 및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정부와 기업 관계자들은 산학연 다양한 분야에서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발맞춰 제도를 개선하고,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데 뜻을 모았다.

전력 분야 대기업 관계자는 이날 간담회에서 “환경 및 에너지 정책 관련 대기업 참여도와 의존도가 높은 반면, 대기업이 참여했을 시 프로그램 시작 단계부터 이를 통해 개발한 기술에 대한 소유권 등 제약 조건들이 미국 등 타 국가 대비 너무 높다”며 “기업들의 대규모 프로젝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라도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규제 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재무 악화 및 기업들의 운영 부담 등으로 국내 에너지 산업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기요금 결정 체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은 “현재 정부가 전기요금을 결정하고 한전이 수행하는 구조로는 차세대 전력 산업 생태계에서의 역할을 감당하기 어렵다”며 “전기위원회의 독립 등 새로운 전기요금 결정 방안 등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인재 양성을 위한 실증에서 실패하더라도 ‘실패 역시 성공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여겨야 한다는 인식 개선 및 지원 확대가 지속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을 활성화시키고, 우수한 인재 양성과 다양한 연구 등을 통해 차세대 전력망 산업 발전을 가속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또 참석자들은 차세대 전력망 분야 기술 실증 및 창업기업 사업화 지원을 위해 공동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냈다.

켄텍은 이를 기반으로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남대학교와 함께 ‘오픈캠퍼스’ 운영 모델을 구축 및 확대하고, 기업과 연구기관과도 자유롭게 협력할 수 있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박진호 켄텍 총장직무대행은 “켄텍은 차세대 전력망 혁신을 이끌 인재를 양성하고, 기술 기반 창업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며 “정부와 산학연이 협력해 세계적인 에너지 혁신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