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삐걱’
2025년 10월 16일(목) 21:00 가가
도의회, 규약안 심사 보이콧…연내 출범 차질 우려
전남도의회가 광주시와 전남도가 추진 중인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규약안 심사 보류를 결정했다.
전남도의회가 집행부와 소통 부족 등을 내세워 사실상 심사를 보이콧하자,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의 연내 출범에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6일 전남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지난 15일 전남도지사가 제출한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규약안’ 심사를 보류하기로 했다.
전남도는 규약안이 상임위를 통과한 뒤 오는 23일로 예정된 제 394회 임시회 의결을 목표로 했지만, 상임위 조차 통과하지 못했다.
특히 16일 광주시의회가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소관 상임위인 행정자치위원회에서 이견이 없는 상태로 통과시킨 것과 상반된다.
광주시의회는 오는 24일 본회의에서 규약안 통과를 앞두고 있다.
전남도의회 기행위 소속 의원들은 집행부의 부족한 소통을 심사 보류의 배경으로 꼽았다. A의원은 “광역연합에 대한 내용을 언론보도를 통해서 접하고 있다. 내용도 모르고 거수기 역할만 하라는 것이냐”고 지적했고, B의원은 “행정예고도 단축하고 그저 빠르게 출범시키는 것에만 혈안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광역연합 의회의 의원 숫자가 광주시와 전남도가 같아 이견이 발생할 경우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심사를 보류한 의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광역연합이 양 시도의 시급한 현안을 해결하고 광주·전남의 공동발전을 위해 추진된다는 점에서, 새 정부 출범으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한 시점에서 연내 출범을 위한 도의회 협조가 필요다는 분석이 나온다.
광역연합 규약안은 연합의 설립 목적, 구성과 운영 구조, 재정 체계가 뼈대로 구성됐다. 시·도민 체감도가 높은 공동사무를 산업, 광역 교통망, 글로벌 관광의 세 축으로 묶고, 주력산업 연계 육성, 첨단 바이오와 초광역 R&D 혁신, 도로·철도·대중교통을 아우르는 교통망 구축과 광역철도 건설·운영, 지역문화 진흥과 생활문화 지원, 초광역 관광체계 구축 등 10개 과제를 명시했다.
규약 의결 뒤에는 행정안전부 승인 절차가 이어지며, 11월 정례회에서는 특별회계 설치 등 필수 조례를 상정·의결해야 올해 연말 출범이 가능하다.
전남도 관계자는 “도의원들이 지적한 설명 부족에 대해서는 통감하고 있다”며 “이번 회기 안에 통과할 수 있도록 의원들을 만나 상세히 설명하고 공감대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전남도의회가 집행부와 소통 부족 등을 내세워 사실상 심사를 보이콧하자,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의 연내 출범에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남도는 규약안이 상임위를 통과한 뒤 오는 23일로 예정된 제 394회 임시회 의결을 목표로 했지만, 상임위 조차 통과하지 못했다.
특히 16일 광주시의회가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 규약안’을 소관 상임위인 행정자치위원회에서 이견이 없는 상태로 통과시킨 것과 상반된다.
광주시의회는 오는 24일 본회의에서 규약안 통과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광역연합이 양 시도의 시급한 현안을 해결하고 광주·전남의 공동발전을 위해 추진된다는 점에서, 새 정부 출범으로 긍정적인 분위기가 형성한 시점에서 연내 출범을 위한 도의회 협조가 필요다는 분석이 나온다.
광역연합 규약안은 연합의 설립 목적, 구성과 운영 구조, 재정 체계가 뼈대로 구성됐다. 시·도민 체감도가 높은 공동사무를 산업, 광역 교통망, 글로벌 관광의 세 축으로 묶고, 주력산업 연계 육성, 첨단 바이오와 초광역 R&D 혁신, 도로·철도·대중교통을 아우르는 교통망 구축과 광역철도 건설·운영, 지역문화 진흥과 생활문화 지원, 초광역 관광체계 구축 등 10개 과제를 명시했다.
규약 의결 뒤에는 행정안전부 승인 절차가 이어지며, 11월 정례회에서는 특별회계 설치 등 필수 조례를 상정·의결해야 올해 연말 출범이 가능하다.
전남도 관계자는 “도의원들이 지적한 설명 부족에 대해서는 통감하고 있다”며 “이번 회기 안에 통과할 수 있도록 의원들을 만나 상세히 설명하고 공감대를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