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한빛원전 화재 알리기 꺼린다?
2025년 10월 15일(수) 21:50
환경감시기구에 6시간24분·주민에겐 20시간 지나서야 문자 발송
조인철 의원 “주민 알림 대응체계 미흡…즉시 고지 명문화 등 필요”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한 뒤 최대 20시간이 지나도록 주민들에게 화재 사실을 알리지 않는 등 ‘늑장 안내’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더불어민주당 조인철(광주 서구갑)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빛원전은 원전 화재 이후 주민에게 가장 늦게 안내문자를 발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빛원전은 지난 5월 9일 밤 10시께 40분께 한빛 5호기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20시간 10분여가 지난 뒤에야 주민들에게 안내 문자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국 원전 중에서 가장 안내가 늦었던 사례로 꼽혔다.

한수원은 원전 주변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민간환경감시기구에 화재 발생 사실을 통보하고, 한수원 홈페이지를 통해 ‘SMS 알리미’ 서비스를 신청한 주민에게 문자를 보내고 있다. 하지만 해당 화재는 지역 민간환경감시기구조차 6시간 20여분 지나고서야 화재 정보를 전달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빛원전은 한빛2호기, 한빛6호기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해서도 비슷한 식으로 조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022년 2월 5일 오후 1시 10분께 한빛6호기에서 발생한 화재가 발생했으나, 주민 안내 문자는 이날 밤 9시 20분께 발송돼 8시간 이상 지연됐다.

같은 해 4월 16일 오후 5시께 한빛2호기에서 화재가 났을 때도 한빛원전은 16여시간 뒤인 다음날 오전 9시께 안내 문자를 보냈다.

2023년 12월 13일 오후 2시께 발생한 한빛2호기 화재 때도 주민 안내문자는 6시간이 넘게 지난 오후 8시 20분에 발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현재 원전 화재 시 지역 주민 알림 대응체계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이미 완진이 된 후에야 문자를 받는 것이 재난을 대피하는 데 무슨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다”며 “원전은 단순 화재로도 원자로 정지, 최악의 경우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시설인 만큼 화재 사고 시 ‘주민에게 즉시 알리도록’ 고시 또는 내규에 명문화하는 등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