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에 만나는 오세아니아의 독창적이면서도 신성한 유물
2025년 10월 04일(토) 11:25
도립미술관 내년 1월 4일까지 기획전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중앙박물관과 공동기획…프랑스 케브랑리-자크시라크 박물관 소장 170여 점 선봬

오세아니아 원주민들의 장신구

도립미술관은 내년 1월 4일까지 기획전 ‘마나 모아나’를 연다. 오세아니아인들의 삶과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들
디지털로 만나는 오세아니아 유물
독특한 문양의 생활도구와 장신구
다양한 도구와 악기들
다양한 장신구
오세아니아의 이색적인 공예품 장신구
지난 2006년 개관한 프랑스 파리의 케브랑리-지크시라크 박물관은 비서구문명 예술 작품을 전시해오고 있다. 아시아,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에서 수집한 약 37만 여점 유물은 유럽 외 타 지역을 알지 못하는 이들에게 비서구권의 독창적인 문화를 보여주는 주요 자료들이다.

특히 케브랑리-지크시라크 박물관(관장 에마뉘엘 카자레루)은 대영박물관을 비롯해 스미소니언, 메트로폴리탄 미술관과 함께 세계 4대 인류학·민속학 박물관으로 알려져 있다.

케브랑리 지크시라크 박물관이 소장한 오세아니아의 유물을 볼 수 있는 전시가 지역에서 열리고 있어 화제다. 태평양이라는 광활한 바다를 접하고 있는 오세아니아는 이전 세기와는 다른 독창적인 문화를 이끌어내는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시에 대한 이목이 집중된다.

전남도립미술관(관장 이지호)은 기획전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마나 모아나)를 진행 중이다. 지난 2일 개막해 내년 1월 4일까지 펼쳐지는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이 공동으로 기획했다.

전시 주제 ‘마나 모아나’는 모든 생명을 품는 바다를 뜻한다. 바다는 경계가 아닌 ‘연결의 길’이며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 공존의 의미도 담고 있다. 전시장에는 유물 171점, 현대작가 작품 8점 등 모두 179점이 관객들을 맞고 있다.

도립미술관은 최근 기자 간담회를 열고 기획전 의미와 개최 배경, 주요 전시 유물 등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는 케브랑리-지크시라크 박물관 Jerome Bastianelli(제롬 베스티앙리) 부관장, Magali Melandri(마가린 멜랑들리) 큐레이터, 국립중앙박물관 이태희 연구관, 백승미 연구사, 도립미술관 김성경 학예연구사 등이 참석했다.

먼저 프랑스 관계자들은 전시 유물을 비롯해 수집 과정 등을 역사적 맥락과 결부해 설명했다.

제롬 베스티앙리 케브랑리-지크시라크 박물관 부관장은 “유물이 한 곳에 소장돼 있기보다 감상을 원하는 세계 관람객들을 위해 찾아가는 것도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며 “미술관에서 펼쳐지는 이번 전시가 관람객들로 하여금 새로운 장르의 예술을 직접 볼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마가린 멜랑들리 큐레이터는 “이번 전시에는 오세아니아 걸작품 가운데 중요한 작품들을 볼 수 있는 기회”라며 “현지에서 창작된 순간부터 프랑스 박물관에 이르는 과정 등도 소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8세기 시작된 항해시대부터 프랑스 항해사들이 수집한 유물이 주요 작품”이라며 “이후 19세기 해군 장교들과 자연사학자, 고고학자 등을 통해서도 수집이 확장됐다”고 덧붙였다.

국내 박물관, 미술관 관계자들은 이번 전시가 도립미술관에서 열리게 된 배경, 전시 구성 등에 대해 설명했다.

이태희 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중앙박물관은 매년 세계 대표박물관과 함께 전시를 진행해왔다”며 “올해부터는 지역 미술관, 박물관과 함께 소개하는 기획전을 마련했는데 그 주제가 ‘오세아니아 유물’ 전시”라고 했다.

백승미 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전체적인 콘셉트는 ‘한국에 처음 소개되는 오세아니아 문화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라는 고민에서 구성됐다”며 “오늘의 관람객들이 당시 오세아니아 원주민들이 만든 조각 작품에 담긴 뜻과 역사적 배경 등에 공감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성경 도립미술관 학예사는 “18~20세기 전시 작품 외에도 현대 오세아니아 작가들 사진도 있어 과거와 현재 비교가 가능하다”며 “순회전의 의미를 살려 서울 전시와 비슷하게 전시가 진행되므로 오세아니아 문화예술을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전시는 네 개의 주제로 구성됐다.

제1부 ‘물의 영토’는 항해술을 비롯해 카누 제작, 신화 등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을 소개한다. 카누와 뱃머리 조각상 등은 바다에 대한 오세아니아인의 인식을 보여준다. 항해와 정착의 체험이 공간적으로 구현돼 역동성과 역사성을 느낄 수 있다.

제2부 ‘삶이 깃든 터전’은 멜라네시아 유물을 토대로 오세아니아인의 삶에 대한 관점이 주 내용이다. 조상 숭배를 비롯해 권력과 교환 의례를 조명하며 공동체 중심의 세계관이 어떻게 형성되고 이어져왔는지 다각도로 탐색한다.

신화, 조상 숭배 등 세대와 세대를 잇는 풍습, 전통적 사상 등을 소개한 내용도 있다.

제3부 ‘세대를 잇는 시간’은 폴리네시아 지역의 신화와 숭배, 마나와 타푸(금기)를 토대로 세대와 세대의 전승과 기억 등을 입체적인 관점으로 들여다본다.

마지막 제4부 ‘섬, 그리고 사람들’에서는 장신구를 초점화한다. 자개나 깃털 등으로 만든 장신구에 투영된 인간관, 자연관, 공동체성 외에도 오세아니아인들의 내면에 투영된 전반적인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이지호 도립미술관장은 “평소 볼 수 없는 오세아니아 관련 전시를 지역민과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선보일 수 있어 기쁘다”며 “케브랑리-자크시라크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과의 협업은 문화유산 공유이라는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갖게 한다”고 밝혔다.

/글·사진=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