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여행업계의 절규 “무안공항 제발 열어 주세요”
2025년 09월 30일(화) 20:50 가가
제주항공 참사 후 10개월째 폐쇄·방치…업계 “고사 위기”
“매출 70% 이상 줄어 빚 내 생계 유지”…생존권 보장 촉구
“매출 70% 이상 줄어 빚 내 생계 유지”…생존권 보장 촉구
“추석 연휴면 적어도 50명은 받았는데 지금은 예약이 5명밖에 없어요. 그마저도 출국하려면 부산, 인천, 청주, 대구로 가야되니 시간도 들고 돈도 들고 손님들도 짜증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광주·전남 여행업자들이 호남권 유일한 국제공항인 무안국제공항 장기 폐쇄로 고사 위기에 놓였다며 정부에 공항을 재개항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해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이후 여전히 사고 조사와 안전점검 계획 등이 답보상태에 머무르면서 무안공항이 삶의 터전이었던 여행업 종사자들의 삶도 지역경제와 함께 무너졌다고 호소하고 있다.
광주·전남 여행업자 등 8000여명으로 구성된 ‘무안공항재개항추진위원회’는 지난 30일 오전 8시 세종시 국토교통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무안공항의 정상 운항을 위한 조치를 즉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위원회는 이날 ‘정부의 즉각적인 재개항 결정과 구체적 일정 발표’, ‘사고 조사 및 안전 점검 계획의 전면 공개와 투명성 확보’, ‘여행업 생존권 보장을 위한 긴급 금융·세제 지원 및 고용안정 대책 시행’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무안공항이 사고 이후 10개월째 완전 폐쇄된 채 방치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지역 관광 여행업 전반이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여행업계에서는 그동안 광주시·전남도, 중앙정부에 수차례 운항 재개를 촉구했지만 정부는 수차례 폐쇄 기간을 연장하며 어떠한 구체적 조치도 내놓지 않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더욱이 사고조사와 시설 점검은 단 한걸음도 진전되지 않았고 재개항 일정에 대한 어떠한 책임있는 설명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 여행업계 주장이다.
당초 국토부는 ‘단계별 운항 대안’에 따라 5월까지 사고 수습과 활주로 정리 등을 진행하고 8월까지 활주로 항행안전등 보수를 진행한 뒤 활주로 주변 계기착륙시설 설치공사가 완료되는 9월 이후 사고가 발생한 장소 반대편 활주로에 운항이 가능할 지 여부를 논의키로 했으나, 30일 현재까지 여행업계는 운항 가능 여부 등을 전달받지 못한 상태다.
국토교통부는 사고가 발생한 지 반 년이 흐른 지난 6월에서야 여행업계 등 광주·전남 지역 참사 여파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하면서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윤기주 한국여행업협회 이사는 “지역 여행업계는 제주항공 참사 이전보다 매출이 70% 이상 줄어들며 빚을 내서 살고 있다. 기존 홍보물품이나 특별융자지원만이 아닌 더 실효성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사고 조사와 안전 점검 계획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전면 공개하고 고사 직전인 여행업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수 무안공항재개항추진위원회 추진위원장은 “무안공항 관련해 광주시장 및 관계자들에게 너무 많은 기대를 한 것 같다. 시장이 나서고, 도지사가 나서면 쉽게 해결될 줄 알았지만 10개월째 답보상태다”며 “무안공항은 호남권 허브공항으로 연 20만명이 이용하는 공공기관이며 호남권 1000개 여행사 대표들과 약 7000명의 가족 및 직원들의 삶터다. 정상 운항을 위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국적인 대응에 나설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공항에서는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착륙하던 제주항공 여객기가 로컬라이저와 충돌해 179명이 숨졌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광주·전남 여행업자들이 호남권 유일한 국제공항인 무안국제공항 장기 폐쇄로 고사 위기에 놓였다며 정부에 공항을 재개항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전남 여행업자 등 8000여명으로 구성된 ‘무안공항재개항추진위원회’는 지난 30일 오전 8시 세종시 국토교통부 앞에서 집회를 열고 무안공항의 정상 운항을 위한 조치를 즉시 이행할 것을 촉구했다.
여행업계에서는 그동안 광주시·전남도, 중앙정부에 수차례 운항 재개를 촉구했지만 정부는 수차례 폐쇄 기간을 연장하며 어떠한 구체적 조치도 내놓지 않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더욱이 사고조사와 시설 점검은 단 한걸음도 진전되지 않았고 재개항 일정에 대한 어떠한 책임있는 설명도 내놓지 않았다는 것이 여행업계 주장이다.
당초 국토부는 ‘단계별 운항 대안’에 따라 5월까지 사고 수습과 활주로 정리 등을 진행하고 8월까지 활주로 항행안전등 보수를 진행한 뒤 활주로 주변 계기착륙시설 설치공사가 완료되는 9월 이후 사고가 발생한 장소 반대편 활주로에 운항이 가능할 지 여부를 논의키로 했으나, 30일 현재까지 여행업계는 운항 가능 여부 등을 전달받지 못한 상태다.
국토교통부는 사고가 발생한 지 반 년이 흐른 지난 6월에서야 여행업계 등 광주·전남 지역 참사 여파 피해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서기로 하면서 ‘뒷북 행정’이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윤기주 한국여행업협회 이사는 “지역 여행업계는 제주항공 참사 이전보다 매출이 70% 이상 줄어들며 빚을 내서 살고 있다. 기존 홍보물품이나 특별융자지원만이 아닌 더 실효성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며 “사고 조사와 안전 점검 계획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전면 공개하고 고사 직전인 여행업계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수 무안공항재개항추진위원회 추진위원장은 “무안공항 관련해 광주시장 및 관계자들에게 너무 많은 기대를 한 것 같다. 시장이 나서고, 도지사가 나서면 쉽게 해결될 줄 알았지만 10개월째 답보상태다”며 “무안공항은 호남권 허브공항으로 연 20만명이 이용하는 공공기관이며 호남권 1000개 여행사 대표들과 약 7000명의 가족 및 직원들의 삶터다. 정상 운항을 위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전국적인 대응에 나설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공항에서는 태국 방콕에서 출발해 착륙하던 제주항공 여객기가 로컬라이저와 충돌해 179명이 숨졌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