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 둘레길 친환경 매트 아니었네
2025년 09월 24일(수) 20:25 가가
광주 곳곳 산책로 등 야자매트서 미세 플라스틱 섬유 검출
광주 곳곳의 둘레길·산책로에 설치된 야자 매트에서 미세플라스틱 섬유가 검출됐다.
24일 광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시민들의 이용이 잦은 둘레길·산책로 7곳 야자매트를 대상으로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표본 조사를 한 결과 6곳에서 플라스틱 섬유가 발견됐다.
플라스틱 섬유가 발견된 곳은 광산구 어등산(동자봉 초입∼산정약수터), 서구 금당산(원광대한방병원∼남양아파트 뒤편), 남구 제석산(유안근린공원∼제석산 편백숲), 북구 매곡산 편백숲·삼각산 산책로, 무등산국립공원(수만리탐방지원센터∼장불재) 등 6곳이다.
야자매트는 야자열매 껍질 섬유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으며 등산로와 산책길 등에 설치돼왔다.
단체는 일부 제조사가 비용절감과 내구성 향상 등을 이유로 야자열매 껍질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 합성섬유를 혼합해 제작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시간이 지나 야자매트가 마모되면서 합성 섬유가 미세플라스틱 형태로 그대로 남게 돼 토양 오염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설명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토양에 침투한 미세플라스틱은 미생물 활동을 저해하고 토양의 통기성과 배수성을 떨어뜨린다”며 “야자매트는 야산 뿐만 아니라 도심 내 공원 등에도 깔려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는 추가조사를 실시해 철거와 설치 금지 등 추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
24일 광주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시민들의 이용이 잦은 둘레길·산책로 7곳 야자매트를 대상으로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표본 조사를 한 결과 6곳에서 플라스틱 섬유가 발견됐다.
야자매트는 야자열매 껍질 섬유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으며 등산로와 산책길 등에 설치돼왔다.
단체는 일부 제조사가 비용절감과 내구성 향상 등을 이유로 야자열매 껍질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 합성섬유를 혼합해 제작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