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움과 채움, 빛과 어둠… ‘BLACK’의 미학
2025년 09월 21일(일) 19:40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기념
도립미술관, 12월14일까지
국제전시 ‘BLACK&BLACK’

한스 아르퉁 작 ‘T1964-E22’ <파리 페로탕 소장>

자오 우키 작 ‘1966년 2월 26일’ <프랑스 국립현대미술센터 소장>
이응노 작 ‘군상’ <CNCITY마음에너지재단 소장>
50년대 파리 화단은 전후 국제미술의 중심지였다. 세계 각국과 지역의 문화와 사조가 교차되고 융합되는 곳이었다. 파리는 유럽 미술의 수도로서만이 아닌 세계 각지의 예술가들의 예술적 실험과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무대였다.

이러한 흐름과 맞물려 60년대 한국 작가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파리에서 활동하며 동양의 서예적 전통을 현대 추상 회화로 풀어낸 이응노가 대표적이다. 그의 등장은 프랑스 미술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며 주목을 받았다.

국제수묵비엔날레를 기념해 동아시아 수묵 남종화와 50년대 서구 블랙회화를 현대미술의 시각에서 조망하는 전시가 열려 눈길을 끈다.

전남도립미술관(관장 이지호)은 수묵비엔날레 4주년을 기념하는 국제전시 ‘BLACK&BLACK’전을 연다. 16일 개막해 오는 12월 14일까지 펼쳐지는 이번 기획전은 국내외 총 20명 작가가 참여해 회화와 도자기, 영상 설치 등 작품 70여 점을 선보인다.

서구 거장 피에르 술라주, 한스 아르퉁, 장 드고텍스, 로버트 마더웰, 자오우키 외에도 한국 현대미술을 이끈 이우환, 이응노, 이강소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공재 윤두서에서 시작해 소치 허련, 의재 허백련, 남농 허건으로 이어지는 남도 수묵의 전통도 소개된다. 현대 수묵을 잇는 김호득, 정광희, 최종섭, 송필용, 박종갑, 설박, 황인기, 박정선 등은 한국 수묵의 오늘과 내일을 보여준다.

전통적으로 동양 수묵화는 여백과 비움, 번짐을 매개로 미를 탐색해왔다. 이에 반해 서구 현대미술은 블랙의 물질성과 평면성을 활용해 추상적 언어를 열어왔다. 같은 블랙이지만 문화와 역사적 맥락에 따라 기저에 드리워진 예술적 함의는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일정 부분 공유점도 있다. 양쪽 모두에서 블랙을 부재가 아닌 생성의 근원으로 봤다는 것이다. 즉 비움과 채움, 빛과 어둠을 담아내는 매개로 활용해 온 것이다.

전시를 위해 도립미술관은 서구 유수의 미술관을 비롯해 국내 문화기관으로부터 작품을 대여했다.

이지호 관장은 “파리시립 세르누치 아시아미술관을 비롯해 프랑스 국립현대미술센터, 아르퉁 재단 등 프랑스 유수 기관으로부터 다양한 작품을 대여했다”며 “이밖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리움미술관을 비롯한 국내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전시 작품을 다양화했다”고 전했다.

윤두서 작 ‘윤두서필 산수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번 국제전은 세계 거장과 남도 화맥의 만남이라는 관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언급한 대로 조선시대 공재 윤두서, 남도 수묵 전통을 잇는 소치 허련, 의재 허백련, 남농 허건 등의 작품 세계를 한자리에서 마주하는 것은 과외의 소득이다.

아울러 현대미술사의 거장들, 즉 피에르 술라주와 한스 아르퉁 등은 앵포르멜의 격렬한 제스처와 물질성을 공유하는 한편 독창적인 조형언어를 구축해온 대가들의 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이들은 아시아 작가들과 교류 등을 통해 국제적 차원에서 작품세계를 폭넓게 일궈나간 당대 예술가들이다.

중국 출신 자오우키 작품은 감성적 추상세계를 대변한다. 전통 중국 회화의 서예적 필치와 산수화적 공간 개념을 서구적 색채, 빠른 붓질로 결합했는데 울림과 서정의 세계를 선사한다.

그렇듯 50년대 파리 화단은 동서양이 서로 교섭해 새로운 조형 언어를 구축해가는 장이었다.

그리고 60년대 한국 작가들이 등장함으로써 추상회화에 중요한 전기가 마련된다. 이응노는 서예적 전통을 추상회화로 구현함으로써 프랑스 미술계에 뚜렷하게 각인을 시켰다. 이른바 ‘동양적 추상’이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

이우환 작 ‘Dialogue’ <광주시립미술관 소장>
1960년대 후반부터 서구에서 활동한 이우환은 ‘관계항’이라는 독창적인 개념을 전개했다. 서구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에 대한 비판적 대안을 모색해 존재와 사물, 공간의 관계를 깊이있게 천착한 것이다. 그의 활동은 서구 미술의 새 지형을 도출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민경 학예팀장은 “이번 전시가 블랙이 내재한 색채 언어가 어떻게 시대와 공간을 초월해 교섭되고 그 자장이 새롭게 전이되는지 다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라며 “특히 수묵비엔날레 기간에 진행되는 만큼 수묵의 세계와 연관해 그 정신과 가치 등을 함께 사유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