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 뜬’ 민간임대 아파트…‘멘붕’에 빠진 계약자들
2025년 08월 21일(목) 20:25 가가
영무토건 법정관리 등 이유 담양 ‘영무예다음 더퍼스트’ 사업 진행 중단
계약자들 “납부한 133억원 중 남은 돈 2100만원 뿐…토지 확보도 못해”
197세대 100억대 피해 호소…사업자 “다시 진행” 밝혔지만 집단소송 예고
계약자들 “납부한 133억원 중 남은 돈 2100만원 뿐…토지 확보도 못해”
197세대 100억대 피해 호소…사업자 “다시 진행” 밝혔지만 집단소송 예고
서희건설의 광주 송정지역주택조합 공사 지연 사태<광주일보 8월 19일자 6면> 에 이어 담양에서도 200세대가 넘는 민간임대 사업이 표류하면서 ‘내 집 마련의 꿈’을 꾸던 서민들의 대규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민간임대 사업을 통해 담양에 들어설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담양 영무예다음 더퍼스트’가 지난 6월 착공을 앞두고 시공 예정사인 영무토건의 법정관리 등을 이유로 사업 진행을 중단했다.
21일 담양 영무예다음 더퍼스트 입주 계약자 등에 따르면 사업 주체인 S산업은 지난해 3월 ㈜담빛시티 도시개발을 시행사로 ‘담빛시티 민간임대 아파트(담양 영무예다음 더퍼스트)’ 입주 계약을 진행했다. 임대 아파트 규모는 총 281세대(10년 임대 후 우선 분양 조건)이며, 현재까지 197세대가 계약을 마친 상태다. 세대금액(분담금)은 A타입 2F(저층)이 1억 8920만으로 가장 낮고, 특화세대(Btype) 옥탑은 3억 5920만원에 이른다.
계약자들은 1세대당 계약금 2500만원과 S산업이 알선한 농협 및 2차 금융기관 등에서 대출을 통해 1~3차 중도금 7500만원 등 세대 당 2500만~1억원씩을 M신탁에 납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세대 당 평균 납부액은 6700여만원으로 총 196억원 중 133억원을 납부했다는 게 입주자들의 주장이다.
하지만 지난 5월 영무토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올 6월로 예정됐던 착공일이 무기한 연기됐으며, 계약·중도금 133억원 중 M신탁에 남은 잔액도 21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S산업측은 아파트를 짓기 위해 토지매입비를 비롯한 운영비, 부대비용 등으로 모두 지출했다는 주장이지만, 계약자들은 “착공일조차 불투명한 사업인데, 통장 잔고 2100만원이 말이 되느냐”며 소송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중도금 대출 등으로 발생하는 이자에 대해 무이자 지원을 확약했던 S산업측은 지난달부터 이자 지원마저 중단한 상태다.
이에 대해 S산업은 지난 20일 계약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향후 사업추진 계획을 밝히는 등 설득에 나섰지만, 석연치 않은 토지 매입비 지출 내역 등이 불거지면서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다.
S산업은 토지매입비로 53억 6000만원을 지출했다는 입장이지만, 토지주로부터 사업 권한만 얻었을 뿐 토지 명의는 여전히 토지주로 돼 있다는 게 계약자들의 설명이다. 다시 말해 토지매입은 하지 않고, 토지에 대한 사업 권한을 얻는 데에만 53억원이 넘는 돈을 투입했다는 것이다.
계약자들은 S산업이 이번 설명회에서 제시한 사업 축소 계획도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S산업은 설명회에서 사업대지(공동주택) 면적을 기존 계획보다 2000여㎡ 줄인 1만1918.6㎡로 줄이고, 입주 세대 수도 281세대에서 233세대로 줄여 사업비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새로운 사업계획을 적용할 시 총 사업비가 1002억원에서 778억원으로 200억원 이상 축소돼 사업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게 S산업의 주장이다.
설명회에서 만난 한 계약자는 “133억원 중 고작 2100만원 남은 상황에서 토지 명의조차 확보하지 못한 사업자를 누가 믿겠느냐”고 반문했다.
일부 계약자는 이날 계약 위반을 주장하며 계약 해지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S산업측은 “재정 악화로 당장 금전 반환이 어렵고 계약 해지도 힘들다”면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한 뒤 향후 일반 분양 후 발생하는 자본으로 보상을 해 드리는 방법도 있다”고 해명했다.
계약자 임시 대표라고 밝힌 A씨는 “사업 내용을 보면 거의 사기에 가깝다는 판단이 들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다”며 “임대아파트를 통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려했던 힘 없는 서민들이 더 이상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관계 기관의 관심을 촉구한다”고 호소했다.
/글·사진=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민간임대 사업을 통해 담양에 들어설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담양 영무예다음 더퍼스트’가 지난 6월 착공을 앞두고 시공 예정사인 영무토건의 법정관리 등을 이유로 사업 진행을 중단했다.
S산업측은 아파트를 짓기 위해 토지매입비를 비롯한 운영비, 부대비용 등으로 모두 지출했다는 주장이지만, 계약자들은 “착공일조차 불투명한 사업인데, 통장 잔고 2100만원이 말이 되느냐”며 소송전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중도금 대출 등으로 발생하는 이자에 대해 무이자 지원을 확약했던 S산업측은 지난달부터 이자 지원마저 중단한 상태다.
이에 대해 S산업은 지난 20일 계약자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향후 사업추진 계획을 밝히는 등 설득에 나섰지만, 석연치 않은 토지 매입비 지출 내역 등이 불거지면서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다.
S산업은 토지매입비로 53억 6000만원을 지출했다는 입장이지만, 토지주로부터 사업 권한만 얻었을 뿐 토지 명의는 여전히 토지주로 돼 있다는 게 계약자들의 설명이다. 다시 말해 토지매입은 하지 않고, 토지에 대한 사업 권한을 얻는 데에만 53억원이 넘는 돈을 투입했다는 것이다.
계약자들은 S산업이 이번 설명회에서 제시한 사업 축소 계획도 신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S산업은 설명회에서 사업대지(공동주택) 면적을 기존 계획보다 2000여㎡ 줄인 1만1918.6㎡로 줄이고, 입주 세대 수도 281세대에서 233세대로 줄여 사업비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새로운 사업계획을 적용할 시 총 사업비가 1002억원에서 778억원으로 200억원 이상 축소돼 사업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게 S산업의 주장이다.
설명회에서 만난 한 계약자는 “133억원 중 고작 2100만원 남은 상황에서 토지 명의조차 확보하지 못한 사업자를 누가 믿겠느냐”고 반문했다.
일부 계약자는 이날 계약 위반을 주장하며 계약 해지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S산업측은 “재정 악화로 당장 금전 반환이 어렵고 계약 해지도 힘들다”면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한 뒤 향후 일반 분양 후 발생하는 자본으로 보상을 해 드리는 방법도 있다”고 해명했다.
계약자 임시 대표라고 밝힌 A씨는 “사업 내용을 보면 거의 사기에 가깝다는 판단이 들어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다”며 “임대아파트를 통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려했던 힘 없는 서민들이 더 이상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관계 기관의 관심을 촉구한다”고 호소했다.
/글·사진=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