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광주군공항 이전 ‘3원칙’ 공약이 해법 되길
2025년 05월 20일(화) 00:00 가가
광주·전남 공통 현안 가운데 최대 난제인 광주 민·군 통합공항 이전 해법을 위한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7일 광주를 찾은 자리에서 국가 주도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공식화 했기 때문이다.
이 후보는 “제가 직접 관리해 깔끔하게 정리하겠다. 충분히 대화하고 방법을 찾고 이해를 조정해 신속히 공항을 옮기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예산이 부족하면 정부가 지원하고 피해 주민들에게는 ‘이 정도면 됐다’고 느낄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가 지원 ▲대통령 직접 책임으로 갈등 조정 ▲무안 주민에 대한 합리적 보상 등 이른바 이전 ‘3원칙’을 제시한 것인데 답보상태에 놓인 공항 이전 논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어제 환영 입장을 내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고민을 풀어주는 의미있는 공약이라며 현실화 가능성이 커졌다고 반겼고 김영록 전남지사도 원만한 해결을 위해 주민 설득 등 중재 역할을 하겠다고 호응했다. 반면 무안군은 공약에 불과하다는 신중한 반응을 보였지만 유력 대선 주자의 공약인데다 3원칙이 현실성이 높아 대선 이후 본격적인 이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광주 민·군 통합공항 이전은 정부가 주도해 추진하는 것이 맞다. 이전 정부에서는 소극적인 자세로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3자에 떠넘겨 갈등만 키웠다. 1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사업비도 광주시가 부담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사정이 비슷한 대구 군공항 이전 사업도 국가 주도로 11조원이 넘는 사업비를 투입한 전례가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광주 공항 이전이 차기 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도록 후속 조치 마련에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어제 환영 입장을 내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고민을 풀어주는 의미있는 공약이라며 현실화 가능성이 커졌다고 반겼고 김영록 전남지사도 원만한 해결을 위해 주민 설득 등 중재 역할을 하겠다고 호응했다. 반면 무안군은 공약에 불과하다는 신중한 반응을 보였지만 유력 대선 주자의 공약인데다 3원칙이 현실성이 높아 대선 이후 본격적인 이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