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 ‘5·18 전야제’ 개막
2025년 05월 17일(토) 18:45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사전대회·본행사·대동한마당로 구성
동구 금남로 일대 수만명 인파 운집…전야제 앞서 시민난장 진행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시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전야제가 열리고 있다. 광주역과 전남대, 조선대 등지에서 출발한 시민들로 이뤄진 ‘민주평화대행진단’이 행사장으로 들어오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기념하는 ‘5·18 전야제’가 개막했다.

제45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는 17일 광주시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5·18 전야제’를 개최했다.

전야제는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주제로 사전대회와 본행사, 대동한마당 등 3부로 구성됐다.

전야제에 앞서 오후 4시부터 열린 ‘민주평화대행진’에는 시민 1만 6000여명이 참석했다.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참여해 1980년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금남로로 횃불행진 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하는 행사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참가단체별로 5곳(광주고·북동성당·조선대·전남대·광주역)에서 출발해 풍물놀이패와 함께 금남로로 집결했다.

오후 5시 18분이 되자 풍물소리가 일제히 멈추며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퍼졌고, 수만명의 방문객들이 한 마음으로 묵념을 했다. 이후 무대에서 ‘출정가’, ‘다시 만난 세계’ 등 노래가 흘러나오자 시민들은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문구가 적힌 부채를 흔들며 환호했다.

전야제 본 행사에서는 과거 전두환 신군부의 비상계엄과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을 다룬 뮤지컬 ‘봄의 겨울, 겨울의 봄’을 공연하고, 작곡가 이형석과 가수 이은미 등도 무대에 오른다.

전야제에 앞서 금남로와 5·18민주광장 등지에서는 시민난장이 펼쳐졌다.

방문객들은 광주YMCA 앞 도로에서 분필로 아스팔트 바닥에 ‘오월 광주를 잊지 말자’는 메시지와 그림을 그렸으며, 영화 ‘택시운전사’에서 등장한 레트로 택시와 1980년대 버스를 재현한 ‘레트로 버스’에도 기념사진을 찍는 이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광주의 정’을 나누는 음식 부스도 인기였다. 오월어머니집은 15kg짜리 주먹밥 24박스를 준비했으나 시민들이 몰리면서 1시간여만에 동이 났다. 커피와 비건 감자튀김, 붕어빵 등을 나누는 부스에도 20~30명씩 줄이 늘어섰다.

방문객 신민(21·인천시)씨는 “5월 18일이 주말이라 자연스럽게 광주가 떠올라 행사에도 오게 됐다. 광주는 매번 올 때마다 민주주의 의미를 새롭게 되새기고 가게 되는 것 같다”며 “민주주의를 책이나 뉴스로만 배우는 것보다, 이렇게 와서 직접 체험할 때 더욱 생생하고 기억에 오래 남는다”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