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100만명 시대…초고령 광주·전남 치매정책 미흡
2025년 03월 17일(월) 20:45
치매환자 7만여명…당사자 위주 지원으로 간병인 대책은 소홀
보호자 46% “물적·심적 부담”…돌봄사업 꼼꼼한 보완 등 필요

꽃샘추위가 불어닥친 17일 오전 광주시 동구 산수동 푸른길 분수공원 광장에서 어르신들이 건강체조를 하며 추위를 이겨내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광주·전남지역 치매 환자수도 늘어나고 있지만 지역사회의 돌봄 정책은 여전히 아쉽다는 지적이 환자 가족들 사이에서 끊이질 않는다. ‘치매 환자 100만 시대’를 맞아 치매 당사자에만 초점을 맞추고 복잡한 지원 과정을 단순하게 하는 등 꼼꼼한 정책 보완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17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최근 발표한 ‘2023 치매역학조사 및 실태조사’에 따른 전국 치매환자 수는 올해 97만 명(치매 유병률 9.17%)을 넘어 내년에는 100만 명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고령화율이 전국 최고 수준인 광주·전남은 치매환자 비율도 빠르게 늘어날 수 밖에 없다는 게 복지 전문가들 지적이다.

광주의 경우 추정치매환자수는 2만 4102명, 전남은 5만 7758명이지만 치매 등록자 수는 광주 1만 4373명, 전남 5만 2726명 등에 이른다.

이들 치매환자들에게 들어가는 1인당 간병 비용도 연가복지의 경우 연간 1733만원, 시설·병원 3138만원인 것으로 추산됐다.

재가복지는 방문요양 돌봄서비스와 개인 맞춤형 케어, 전문 교육과 등급신청 지원 등의 서비스로 이뤄지며 시설·병원은 노인복지시설이나 전문 병원에 입원해 치료·돌봄을 받는 방식이다.

어느 방식이든 환자 보호자들의 부담이 크지만 정부 지원은 만족할 만한 수준이 못 된다.

전남도의 경우 치매 예방체계를 강화하고 고위험군 조기 발견과 치매환자 및 가족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치매관리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치매 예방체계를 보다 촘촘하게 구축하는 등 공을 쏟고 있지만 환자와 가족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많다는 얘기다.

치매안심관리사를 양성, 방문 돌봄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경증치매환자에게도 방문 돌봄 서비스를 확대하는 한편, ‘치매환자·가족 마음치유 프로그램’을 확대해 가족 돌봄 부담을 줄이고 치매치료관리비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는데도 세부 지원 사업을 모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보건복지부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45.8%가 “물적·심적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답한 것도 이러한 점과 무관하지 않다.

장성에 거주하는 강모(91)씨는 “13개월 전 매월 국가 지원금 121만 원을 수혜받았지만 식비와 숙박비, 생활비를 충당하고 나면 간병 생활을 지속하는 것이 어렵다”고 토로했다.

자체 인건비를 제외해도 검진비와 교통비 등 부대비용이 많고, 돌봄 노동을 지속하기 위한 간접 지원도 부족하다고 하소연을 한다.

또 치매 등급을 판정하는 과정에 대한 불만족을 지적하는 가족들도 적지 않다.

공단에 판정을 신청하면 간호사와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장기요양 직원이 가정을 방문, ‘의사소견서’와 ‘특기사항’을 종합해 장기요양 척도를 판별하는데, 임상적 요법이나 순간적 관찰에 의존하는 항목이 많아 자칫 주관적인 평가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는다.

홍보 부족 등으로 지원사업 자체를 모르는 환자와 가족들도 여전하다.

광산구 도산동에서 아들과 거주하는 치매 환자 김모(88)씨는 요양보호 신청 자체를 하지 않았다. 고령인 치매 환자 뿐 아니라 돌봄 노동자도 대부분 중·장년이라 세부 지원 사업을 모르는 형편이다.

아들은 “재가급여로 월 150만원께 지원금이 나오지만 턱도 없다. 성인용 보행기부터 간이변기, 미끄럼 방지매트, 자세변환용구 등을 구매하면 오히려 적자”라며 “직접 지원보다 간병인 마음을 다독여주는 간접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했다.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