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국회의원들 끌어내라 지시한 적 없다” 주장 되풀이
2025년 01월 21일(화) 21:10 가가
헌재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 출석
국회측 계엄군 침입 영상 제시에
“저항하니까 나오지 않느냐” 강변
국회측 계엄군 침입 영상 제시에
“저항하니까 나오지 않느냐” 강변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헌법재판소(헌재)에 출석해 탄핵소추안 쟁점에 대해 직접 변론하면서 치열한 법정 공방을 예고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없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고 지시한 바 없다는 등 기존 주장을 되풀이 했다. 국회 측은 국방위원회 회의록 등의 서류 증거와 계엄 당시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한 계엄군 침입 영상 등을 제시하면서 윤 대통령 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헌재 대심판정에서 이날 열린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이 1시간 40여분만에 끝났다.
재판장인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피청구인 본인께서 소추 사유에 대한 의견 진술을 희망하신다면 발언 기회를 부여하겠다”고 말하자 윤 대통령은 곧바로 손을 들었다.
윤 대통령은 “뭐라 말씀드릴지 모르겠지만 양해해주시면 (발언을 하겠다)”고 말했다. 문 권한대행이 허락하자, 윤 대통령은 1분여 발언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처음 출석을 했기 때문에 간단히 한 말씀 드리겠다”면서 “저는 철 들고 난 이후 지금까지 공직 생활을 하면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신념 하나를 확고히 가지고 살아온 사람”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러가지 헌법 소송으로 업무가 과중하신데 제 탄핵 사건으로 고생하시게 돼 재판관들께 송구스러운 마음”이라면서 “헌법재판소도 헌법 수호를 위해 존재하는 기관인 만큼 재판관님들께서 여러모로 잘 살펴주시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 측은 ‘야당의 탄핵소추권 남발로 인한 국정마비와 무분별한 예산안 삭감, 하이브리드전쟁 위험, 부정선거 의혹’ 등 계엄 선포 이유를 설명했다. ‘야당의 망국적 행위를 알리기 위한 것이고 계엄군의 국회 투입은 질서유지 차원’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한 것이다.
윤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인 차기환 변호사는 “소규모이지만 병력을 국회에 투입한 이유도 거대 야당의 망국적 행태를 국회와 국민들에게 직접 알리고 계엄 선포 방송을 본 국회 관계자들과 시민들이 대거 몰릴 것에 대비해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국회를 해산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키려고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시 결코 법조인을 체포 구금하라고 지시한 바가 없고 실제로 체포된 법조인도 전혀 없고 한동훈 전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고 지시한 바도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회 측은 헌재에 제출한 국방위원회 회의록 등의 서류 증거와 계엄 당시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한 계엄군 침입 영상 등을 제시하면서 윤 대통령 측의 주장에 반박했다. 계엄 관련자들의 증언도 제시했다.
영상을 본 윤 대통령은 “군인들이 청사에 진입했는데 직원들이 좀 저항하니까 스스로 나오지 않느냐. 얼마든지 들어갈 수 있는데”라면서 강변했다.
문 권한대행은 윤대통령에게 직접 “국가 비상 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는 쪽지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준 적이 있느냐”, “이진우 수방사령관, 곽종근 특전사령관에게 계엄 선포 후 계엄 해제 결의를 위해 국회에 모인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있느냐” 등 두 가지 질문을 했다.
윤 대통령은 쪽지에 대해서 “준 적도 없고, 나중에 계엄을 해제한 후에 한참 있다가 언론을 통해서 알았다”고 부인했고, 끌어내라는 지시에 대해서는 “없습니다”고 답변했다.
헌재는 이날 윤 대통령 측이 요청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박춘섭 경제수석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23일 진행되는 4차 변론 기일에는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에 대한 증인 신문이 진행된다. 조지호 전 경찰총장도 이날 증인 신문이 예정돼있었지만, 건강상의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다음달 4일에는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증인석에 출석한다.
하루 종일 재판이 진행되는 6일 오전에는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 오후에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과 박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에 대한 증인신문이 열리고, 11일에는 이 전 장관이 증인으로 법정에 선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윤 대통령은 이날 국회의원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없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고 지시한 바 없다는 등 기존 주장을 되풀이 했다. 국회 측은 국방위원회 회의록 등의 서류 증거와 계엄 당시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한 계엄군 침입 영상 등을 제시하면서 윤 대통령 측의 주장을 반박했다.
재판장인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피청구인 본인께서 소추 사유에 대한 의견 진술을 희망하신다면 발언 기회를 부여하겠다”고 말하자 윤 대통령은 곧바로 손을 들었다.
윤 대통령은 “오늘 처음 출석을 했기 때문에 간단히 한 말씀 드리겠다”면서 “저는 철 들고 난 이후 지금까지 공직 생활을 하면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신념 하나를 확고히 가지고 살아온 사람”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측은 ‘야당의 탄핵소추권 남발로 인한 국정마비와 무분별한 예산안 삭감, 하이브리드전쟁 위험, 부정선거 의혹’ 등 계엄 선포 이유를 설명했다. ‘야당의 망국적 행위를 알리기 위한 것이고 계엄군의 국회 투입은 질서유지 차원’이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한 것이다.
윤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인 차기환 변호사는 “소규모이지만 병력을 국회에 투입한 이유도 거대 야당의 망국적 행태를 국회와 국민들에게 직접 알리고 계엄 선포 방송을 본 국회 관계자들과 시민들이 대거 몰릴 것에 대비해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국회를 해산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키려고 하는 의도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시 결코 법조인을 체포 구금하라고 지시한 바가 없고 실제로 체포된 법조인도 전혀 없고 한동훈 전 대표와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고 지시한 바도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회 측은 헌재에 제출한 국방위원회 회의록 등의 서류 증거와 계엄 당시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한 계엄군 침입 영상 등을 제시하면서 윤 대통령 측의 주장에 반박했다. 계엄 관련자들의 증언도 제시했다.
영상을 본 윤 대통령은 “군인들이 청사에 진입했는데 직원들이 좀 저항하니까 스스로 나오지 않느냐. 얼마든지 들어갈 수 있는데”라면서 강변했다.
문 권한대행은 윤대통령에게 직접 “국가 비상 입법기구 관련 예산을 편성하라는 쪽지를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준 적이 있느냐”, “이진우 수방사령관, 곽종근 특전사령관에게 계엄 선포 후 계엄 해제 결의를 위해 국회에 모인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한 적이 있느냐” 등 두 가지 질문을 했다.
윤 대통령은 쪽지에 대해서 “준 적도 없고, 나중에 계엄을 해제한 후에 한참 있다가 언론을 통해서 알았다”고 부인했고, 끌어내라는 지시에 대해서는 “없습니다”고 답변했다.
헌재는 이날 윤 대통령 측이 요청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박춘섭 경제수석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23일 진행되는 4차 변론 기일에는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에 대한 증인 신문이 진행된다. 조지호 전 경찰총장도 이날 증인 신문이 예정돼있었지만, 건강상의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다음달 4일에는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증인석에 출석한다.
하루 종일 재판이 진행되는 6일 오전에는 김현태 707특수임무단장, 오후에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과 박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에 대한 증인신문이 열리고, 11일에는 이 전 장관이 증인으로 법정에 선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