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 수습·유가족 인도 종료…사고원인 조사 본격화
2025년 01월 05일(일) 19:40
179명 6일까지 인도…사고기 엔진 조사 위해 격납고 이동
상황 종료 후에도 정부 차원 상설 지원단 꾸려 유족과 소통

4일 오후 무안국제공항 방위각시설에서 인양된 사고 여객기의 두 번째 엔진이 트레일러로 옮겨지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수습과 유가족 인도 절차가 종료된 데 따라 사고원인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정부는 1월 중순께 가칭 ‘제주항공 여객기 항공 사고 피해 수습 및 유가족 지원 추진단’(상설 지원단)을 꾸려 유가족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와 전남경찰청 무안 제주항공 참사 수사본부는 5일 무안국제공항 2층 희생자 유족 대기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6일까지 모든 희생자 시신을 유족에게 인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날까지 희생자 총 179명 중 176명의 시신이 장례식장으로 이송됐으며 나머지 3명은 유족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하루 뒤인 6일 희생자를 인도받기로 했다.

희생자 150여명의 유류품이 확인돼 이 중 128명의 유류품 204점이 유족에게 인도됐으며, 남은 유류품 600여점에 대한 소유관계를 확인 중이다. 공항에 남겨진 희생자 자동차 중 5대는 인도 완료됐다.

사고 현장 수습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원인 분석과 진상 규명을 위한 조사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까지 꼬리 날개 등 항공기 잔해와 인근 갈대밭 등을 대상으로 수색 작업을 마친 결과 희생자의 시신 일부가 추가로 발견되지 않았다. 경찰은 현장 감식 수사와 관련해 소규모 수색 작업은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사고 현장에 남아 있던 항공기 엔진 2기는 인양돼 조사를 위해 격납고로 옮겨졌으며, 꼬리 날개와 랜딩 기어 등은 현장에 남겨둔 채 조사 중이다. 공항 울타리 밖에 흩어져있는 사고기 잔해를 울타리 안쪽으로 옮기는 작업도 이뤄지고 있다.

사고기에서 확보한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는 지난 4일 녹취록 작성까지 마쳤으며, 일부 부품이 유실된 비행기록장치(FDR)는 6일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로 이송될 예정이다.

정부는 오는 10일까지는 사고기와 동일한 기종(B737-800)을 운영하는 6개 항공사를 대상으로 항공기 주요계통의 정비이력 적정성 및 비행전후 점검실태, 운항 및 정비기록관리, 정비인력 관리 분야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인천·김포·제주 등 전국 13개 공항 등에 설치된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점검도 진행 중이다.

현장 상황이 종료되더라도 유족 지원과 소통 창구는 남겨진다.

정부는 이달 중으로 정부차원의 상설 지원단 기구를 꾸리기로 했다. 현장에서 운영해오던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재난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는 당분간 유지하며, 정부 차원의 상설 지원단이 발족하면 유족 지원 업무를 이관한다.

무안공항에 설치된 245개 텐트형 재난구호 쉘터(임시 숙소)는 정리하되, 유족이 찾아와 쉬어갈 수 있도록 방역·청소 작업을 거쳐 일부 쉘터를 남겨 놓을 방침이다.

유족의 편의를 위해 장례 등 절차는 간소화한다. 유류품 인도 시 인감증명서 제출을 생략하기로 하고 가족관계증명서 등 제출서류도 사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각종 서류는 유족과 매칭된 전담 공무원이 일괄적으로 위임받아 발급할 수 있도록 했다.

광주·전남 지역 화장장 가동과 운영시간도 광주는 하루 평균 38분에서 55분으로, 전남은 99분에서 124분으로 확대 운영한다. 국토부는 화장장에 참사 희생자가 우선 배정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박상우 국토부장관은 “그동안 힘든 과정에서도 잘 인내하고 협조해주신 여러 분들께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앞으로도 정부가 해야 할 것과 더불어 국회 차원에서 지원할 부분들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과정이 되면 장관으로서도 국회에 출석해 적극적으로 유족 편에 서서 의견을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