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고향 찾은 5·18 피해자들 “학살자 흔적 지워라”
2024년 12월 12일(목) 20:01 가가
12·12 45주년 맞아 합천서 ‘전두환 미화시설’ 폐지 촉구
일해공원 명칭 변경도…“혈세로 기념물 설치는 2차 가해”
일해공원 명칭 변경도…“혈세로 기념물 설치는 2차 가해”
12·12 군사반란 45주년에 맞춰 5·18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이 광주 학살의 주범인 전두환씨의 고향인 경남 합천군에서 전두환 미화 시설 폐지를 촉구했다.
12·12 군사반란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 이후 군부 내 사조직 ‘하나회’의 수장인 전씨가 자신을 정권을 찬탈하기 위해 같은 해 12월 12일 오후부터 새벽 사이 쿠데타를 일으킨 사건이다.
5·18기념재단은 12일 공법단체 5·18 부상자회 회원들과 옛전남도청원형복원지킴이 어머니 등 42명과 함께 경남 합천군에서 이같은 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합천에서는 일해공원 명칭 변경 운동을 해 온 ‘생명의 숲 살리기 합천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 회원들이 동행했다.
이들은 경남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에 있는 ‘일해공원’을 찾아가 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했다.
해당 공원의 이름 ‘일해’는 5·18 광주 학살의 주범인 전두환씨의 아호 일해(日海)에서 따 온 것으로, 당초 이름은 ‘새천년 생명의 숲’이었으나 2007년 합천군이 자체적으로 공원 명칭을 바꿨다.
5·18 피해자들은 일해공원 내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런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한다’는 문구가 적힌 비석에 ‘내란수괴 전두환 윤석열, 국민은 결코 용서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5·18 피해자들은 비석에 계란 등을 던지고 ‘비석을 철거하라’는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집회는 지난 2007년부터 지속돼 왔으나, 합천군의 비협조로 번번이 무산됐다.
운동본부는 최근 국회전자청원 웹 사이트에 게시한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을 올렸다. 이 청원은 지난 8일께 목표 청원 동의 수인 5만명을 돌파했으며 12일 현재 9만 9783명 동의를 받았다.
청원은 목표 동의 수를 달성한 데 따라 의안에 준해 처리돼 국회 상임위원회로 회부될 예정이다.
이들은 합천군 내 전두환 생가에 항의성 방문을 하고 전두환 생가 앞에 설치된 안내판에 5·18과 관련된 언급이 하나도 안 돼 있는 점을 규탄했다.
안내판에 12·12 군사반란과 관련해서 전씨가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이 발생하자 합동수사 본부장을 맡아 수사를 벌이는 과정에서 빚어진 일’이라고만 쓰이고, 전씨가 ‘취임 때의 단임 실천 약속에 따라 자진 퇴임했다’는 등 왜곡된 내용이 적혀있는 점 등도 지적했다.
5·18 피해자들은 합천군청 내 군수실 앞에서 낮 12시부터 7시간 넘게 기다리며 합천군수와 면담을 요청했으나, 군수가 10일 이내 면담을 약속하면서 결국 무산됐다.
박강배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전두환씨가 이미 1997년 내란죄 선고를 받고,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는데도 학살자를 찬양하고 세금을 들여 기념물을 설치, 운영하는 것은 역사에 잘못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는 학살자를 찬양하는 것이자 5·18 피해자들에게 2차 피해를 가하는 것이다. 합천군수가 책임을 지고 5·18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12·12 군사반란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전 대통령 사망 이후 군부 내 사조직 ‘하나회’의 수장인 전씨가 자신을 정권을 찬탈하기 위해 같은 해 12월 12일 오후부터 새벽 사이 쿠데타를 일으킨 사건이다.
합천에서는 일해공원 명칭 변경 운동을 해 온 ‘생명의 숲 살리기 합천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 회원들이 동행했다.
이들은 경남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에 있는 ‘일해공원’을 찾아가 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했다.
5·18 피해자들은 일해공원 내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런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한다’는 문구가 적힌 비석에 ‘내란수괴 전두환 윤석열, 국민은 결코 용서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현수막을 내걸었다.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집회는 지난 2007년부터 지속돼 왔으나, 합천군의 비협조로 번번이 무산됐다.
운동본부는 최근 국회전자청원 웹 사이트에 게시한 ‘전두환을 찬양하는 공원 폐지 및 관련 법률 제정 요청에 관한 청원’을 올렸다. 이 청원은 지난 8일께 목표 청원 동의 수인 5만명을 돌파했으며 12일 현재 9만 9783명 동의를 받았다.
청원은 목표 동의 수를 달성한 데 따라 의안에 준해 처리돼 국회 상임위원회로 회부될 예정이다.
이들은 합천군 내 전두환 생가에 항의성 방문을 하고 전두환 생가 앞에 설치된 안내판에 5·18과 관련된 언급이 하나도 안 돼 있는 점을 규탄했다.
안내판에 12·12 군사반란과 관련해서 전씨가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이 발생하자 합동수사 본부장을 맡아 수사를 벌이는 과정에서 빚어진 일’이라고만 쓰이고, 전씨가 ‘취임 때의 단임 실천 약속에 따라 자진 퇴임했다’는 등 왜곡된 내용이 적혀있는 점 등도 지적했다.
5·18 피해자들은 합천군청 내 군수실 앞에서 낮 12시부터 7시간 넘게 기다리며 합천군수와 면담을 요청했으나, 군수가 10일 이내 면담을 약속하면서 결국 무산됐다.
박강배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전두환씨가 이미 1997년 내란죄 선고를 받고, 전직 대통령 예우를 박탈당했는데도 학살자를 찬양하고 세금을 들여 기념물을 설치, 운영하는 것은 역사에 잘못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는 학살자를 찬양하는 것이자 5·18 피해자들에게 2차 피해를 가하는 것이다. 합천군수가 책임을 지고 5·18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