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극단 선택 예방 대책 시급하다
2024년 03월 28일(목) 00:00
광주·전남에서 최근 10대 청소년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례가 느는 등 청소년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가운데 이러한 안타까운 일을 막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광주시 등에 따르면 광주지역에서 야간·공휴일 응급 상황에서만 이뤄지는 ‘청소년 정신응급상황’ 출동 건수는 지난 2019년 47건에서 2023년 120건으로 2.5배 넘게 증가했다. 또 극단적 선택 시도 등으로 강제 입원이 된 사례도 2019년 13건에서 2023년 62건으로 5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제 입원으로 처리되는 청소년 정신응급상황 외에도 고의적 자해로 인한 사망자 수도 늘고 있다. 실제로 광주에서 최근 5년간 고의적 자해로 인한 사망자가 매년 300여명 정도였는데, 이 중 10대 이하(만 19세 이하) 사망자 수는 2019년 7명, 2020년 11명, 2021년 9명, 2022년 14명으로 증가세다. 전남도 역시 고의적 자해로 인한 사망자 수가 매년 500여명을 이어오고 있는 가운데 10대 이하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물론 가정과 학교의 대책은 미진하다. 청소년이 스스로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 도움을 요청해도 부모의 반대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잦다고 한다. 대다수 학부모가 학교 출석 일수를 채워야 한다는 이유로 입원 치료를 꺼리기 때문이다. 학업 지장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관을 늘리는 등 개선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청소년은 나라의 미래인 만큼 마음 건강에 ‘빨간불’이 켜지지 않도록 소중하게 보호하고 혹시 모를 극단 선택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교육부에서 3년에 한 번씩 시행하고 있는 ‘학생 정신건강검진’의 기간을 단축하고 횟수를 늘리는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