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들, 현장 이탈보다 환자생명 돌봐야
2024년 03월 26일(화) 00:00
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에 반발하고 있는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시작했다.

전남대와 조선대 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에 따르면 어제 조선대 의대 교수와 전남대 의대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최근 양 대학 비대위가 의대 교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거쳐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사직서 제출을 감행했다. 아직 시작 단계지만 금명간 무더기 사직서 제출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일단 교수들은 사직서 제출 이후에도 병원을 떠나지 않고 당분간 진료는 지속하기로 결정했지만 25일부터 법정 근로시간인 52시간을 지키는 준법투쟁에 나섰다. 전공의 이탈로 인한 불편을 감내해온 환자들은 또다시 수술이나 외래 진료가 취소될까 크게 우려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그동안 전공의들의 공백을 메워온 전남대와 조선대 교수들마저 현장을 떠나면 의료파국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데 있다. 이미 과부하가 걸린 의료현장에 수혈할 의료인력이 없기 때문이다. 교수들은 정부가 예고한 대로 전공의들에게 면허정지 처분을 강행할 경우 현장을 떠날 가능성이 크다.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강행과 제자들의 면허정지를 걱정하는 교수들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강경 대응으로 일관하는 정부도 문제지만 생명을 다루는 의사들이 환자 곁을 떠나면 의료인의 본분을 저버린 행위다. 다행히 엊그제 대통령실이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 ‘유연 처리를 모색하라’고 지시한데 이어 어제도 내각에 “의료계를 비롯한 사회 각계와 더욱 긴밀히 소통해달라”고 주문하는 등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는 의료개혁의 공통분모가 환자와 국민이라는 점을 되새기고 대화와 소통으로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정부와 의료계의 강경 대치가 지속하면 결국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