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배정 ‘환영’ 이젠 인프라 ‘확충’
2024년 03월 22일(금) 00:00
의대 증원 2000명을 고집해 온 정부가 그제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 대학별 배정 결과를 발표했다. 의대 증원 2000명은 최소한의 수치라고 강조해 온 정부가 급기야 대학별로 정원을 배정함에 따라 의대 증원이 현실로 다가왔다.

한달 이상 진행돼 온 의정(醫政) 갈등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지만 국민 입장에선 환영한다는 반응이 더 많은 것 같다. 대학별 배정 내용을 보면 전체 증원 인력의 82%를 비수도권에 배정했는데 전남대는 75명, 조선대는 25명씩 늘려 당장 내년부터 전남대는 200명, 조선대는 150명씩 선발하게 됐다. 전남대와 조선대 정원은 서울권 8개 대학 가운데 정원이 135명으로 가장 많은 서울대보다 많아 정부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격차 해소에 대한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전남 입장에선 윤석열 대통령의 전남권 국립 의대 신설 지원에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까지 신속 추진을 약속해 30년 숙원을 해결할 절호의 기회를 맞았다.

의대 증원을 대학별로 배정한 만큼 지금부터는 신속하면서도 꼼꼼한 후속조치가 중요하게 됐다. 대학들은 곧바로 신입생 모집을 위해 5월까지 수시모집 요강을 확정해야 하고 늘어난 신입생 수업을 위한 준비에 들어가게 된다. 의학교육의 질 하락을 이유로 증원을 반대하고 있는 의료계를 설득하기 위해서라도 인프라 확충에 나서야 한다.

교수진 확보, 기자재와 수업 공간 확충이 당장 시급한 과제다. 전남대와 조선대만 하더라도 학교 차원에서 임상 교수 확보와 실험 실습실 개조 등에 나설 계획이지만 단기간에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정부가 나서 의학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그것이 의료계에 빌미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자 의정 갈등을 해결하는 길이다. 궁극적으로는 미복귀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처분 등 강공책만 쓸 것이 아니라 의료계와 대화 창구를 마련해 조속한 시일내에 의정 갈등 해결에 나서야 한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