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판)이라는 의제를 ‘소리’로 공명시키는 의미”
2024년 02월 28일(수) 20:00 가가
광주비엔날레 '판소리-모두의 울림' 포스터 등 EIP 공개
판소리는 소리꾼과 고수, 청중이 맞물려 이루어지는 예술이다. 발생 당시부터 민초들에게 사랑을 받은 문화예술로 극 중간마다 ‘얼쑤!’와 같은 추임새가 가미된다.
판소리는 특유의 리듬감과 울림을 특징으로 한다. 소리로도, 추임새로도, 어깨춤으로도 어우러지는데 그 바탕이 바로 울림이다.
올해 열리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포스터, 시그니처는 리듬감과 울림이 특징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판)이라는 의제를 ‘소리’로 공명시키려는” 의의를 반영했다.
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전시 주제 ‘판소리-모두의 울림’을 시각화한 EIP(Event Identity Program)을 공개했다.
이번 EIP는 스튜디오 와이팩토리얼이 개발했다. 강채원, 이승현 2명으로 구성된 와이팩토리얼은 감각적이며 세련된 시각작업을 진행해왔다.
춤을 추는 듯 리듬감이 느껴지는 소리의 파형에 움직이는 듯 자장을 발산하는 굵은 산맥의 이미지가 결합돼 있다. 소리와 공간에 대한 탐색, 그리고 ‘판’에서 함께 어우러지는 이미지 등을 유추할 수 있다.
이번 EIP는 낮과 밤 두 버전으로 제작돼 있다. 오늘날 세계적 화두로 제기된 인구과잉을 비롯해 기후 문제 등이 소리의 파형 속에서 환기된다.
박양우 대표이사는 “이번 EIP는 다양한 생명체들이 발산하는 소리 파형을 모티브로 감각적으로 구현한 점이 특징인 것 같다”며 “오늘날 전 지구적인 문제로 부상한 환경 문제 등을 다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판소리는 특유의 리듬감과 울림을 특징으로 한다. 소리로도, 추임새로도, 어깨춤으로도 어우러지는데 그 바탕이 바로 울림이다.
광주비엔날레(대표이사 박양우)는 제15회 광주비엔날레 전시 주제 ‘판소리-모두의 울림’을 시각화한 EIP(Event Identity Program)을 공개했다.
이번 EIP는 스튜디오 와이팩토리얼이 개발했다. 강채원, 이승현 2명으로 구성된 와이팩토리얼은 감각적이며 세련된 시각작업을 진행해왔다.
박양우 대표이사는 “이번 EIP는 다양한 생명체들이 발산하는 소리 파형을 모티브로 감각적으로 구현한 점이 특징인 것 같다”며 “오늘날 전 지구적인 문제로 부상한 환경 문제 등을 다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