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권 의대 설립 외면한 정원 확충 아쉽다
2024년 02월 08일(목) 00:00 가가
전남도 등 일부 지자체들이 엊그제 정부가 발표한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늘리는 내용의 의대 정원 확대안에 대해 ‘전남지역 국립 의대 설립’을 외면하는 불합리한 처사라며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당장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2000명 늘려 오는 2035년까지 1만 명의 의사 인력을 확충하기로 하는 의대 정원 확대안을 발표했다. 늘어나는 정원의 경우 대학의 제출 수요와 교육 역량, 소규모 의과대학의 교육 역량 강화 필요성, 지역의료 지원 필요성 등을 살펴 대학별로 배정하되 비수도권 의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안에 대해 전남도 등은 환영의 입장을 표하면서도 정부가 의대 정원 규모를 밝히면서 지역 의대 신설 계획을 내놓지 않은 것은 지역의 실정을 무시한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지역의료 불균형 해소를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에도, 의대 신설보다는 지역 의대 졸업자들을 지역에 거주시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는 반대 의견에 밀렸다는 해석이 나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방침은 의료 인프라가 최악인 전남의 현실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지역 병원들은 매년 의사 구인난을 떨치지 못하고 있고, 지방의 환자들은 새벽 KTX를 타고 서울의 대형병원으로 ‘원정 진료’를 다니는 일을 감수하고 있다. 여기에 이른바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를 전공하는 의사는 갈수록 줄고, 피부과·안과·성형외과 등 수입이 많고 근무 환경이 편한 분야로 쏠림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
다행인 것은 이번 안이 아직 의사단체 등과 절충할 부분이 남아있고, 지자체들 역시 국립 의대 설립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으로 설득의 여지가 남아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국립 의대가 없는 전남권에 의대 신설을 염원하는 여론을 최종안에 반영하길 바란다.
정부는 당장 2025학년도 의과대학 입학 정원을 2000명 늘려 오는 2035년까지 1만 명의 의사 인력을 확충하기로 하는 의대 정원 확대안을 발표했다. 늘어나는 정원의 경우 대학의 제출 수요와 교육 역량, 소규모 의과대학의 교육 역량 강화 필요성, 지역의료 지원 필요성 등을 살펴 대학별로 배정하되 비수도권 의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배정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