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무전공 선발 확대, 부작용 최소화해야
2024년 02월 05일(월) 00:00 가가
최근 교육부가 무전공 입학생 확대 방침을 밝히면서 대학들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2024년 대학혁신지원사업 및 국립대학육성사업 기본 계획’을 발표한 교육부가 대학의 무전공 모집 비율에 따라 재정지원에 차등을 두겠다는 방침을 확정했기 때문이다.
무전공 선발은 전공 구분 없이 대학에 들어간 뒤 2학년에 올라갈 때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학생 입장에서는 전공 선택권을 보장받는 효과가 있고, 대학은 시대나 기술 변화에 맞게 새로운 전공을 도입하거나 융합 학문 전공을 개설할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대학이 지금처럼 경직된 전공과 학과의 벽에 묶여있어서는 융합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는 공감대는 형성돼 있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가장 큰 우려는 학생 쏠림 현상으로, 취업에 도움이 안 된다고 여겨지는 인문사회·기초과학 전공에 학생이 오지 않게 되는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 등이 기초학문 붕괴를 우려하며 중단을 요구한 이유다.
등록금 동결 등으로 재정이 여의치 못한 대학들은 정부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다 특히 무전공 선발이 글로컬 대학 선정과도 무관치 않은 사항이라 도입 시기, 선발 규모, 학과 간 유·불리 등을 검토하며 최선의 방안을 찾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사실, 무전공 선발 확대는 예전에도 추진된 정책이다. 학과 단위 대신 ‘학과’나 ‘계열’로 신입생을 모집한 적이 있었고, 2000년대 후반에는 ‘자유전공학부’가 등장하기도 했지만 모두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교육부와 각 대학은 이번 방침이 당장 내년에 입시를 치를 수험생의 입시뿐 아니라 그 이후의 진로에까지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 이전의 실패를 교훈 삼아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가장 큰 우려는 학생 쏠림 현상으로, 취업에 도움이 안 된다고 여겨지는 인문사회·기초과학 전공에 학생이 오지 않게 되는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전국국공립대학교 인문대학장협의회 등이 기초학문 붕괴를 우려하며 중단을 요구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