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가계부채, 비은행권 의존 높아 위험
2024년 01월 31일(수) 00:00 가가
우리나라 경제 성장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가 가계부채다. 가계부채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정부가 소비 진작을 위해 정책적으로 대출을 늘리면서 늘었다가 줄어드는 추세다. 그러나 광주·전남지역의 가계부채는 소득대비 비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 대출이 많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 좋지 않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최근 발표한 가계부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가계부채 규모는 광주가 46조 원, 전남이 41조 6000억 원이었다. 문제는 광주의 경우 지역내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1.7%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지역내 소득보다 빚이 많다는 얘기인데 이렇게 될 경우 소비 여력이 줄어 경기가 더욱 침체될 수 밖에 없다. 통상 가계부채의 적정 수준을 소득 대비 85% 정도로 보는데 광주의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가 넘는데다 수도권(91.9%)은 물론 5대 광역시 평균(92.5%)보다 훨씬 높다는데 심각성이 있다.
제1 금융권인 은행이 아닌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 신협 등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높은 점도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이자가 비싼 비은행권 대출 비중은 광주가 26.4%로 5대 광역시 평균보다 4.4%p 높고 전남은 전체 대출의 절반에 가까운 45.2%가 비은행권 대출이다. 지역민들의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높은 이유는 소득이 낮은데 따라 신용도도 낮기 때문이다. 고령인구가 많은 전남에 은행보다 대면 영업을 중시하는 비은행권 점포가 많은 것도 원인이다.
소득이 낮아 신용도가 떨어지고 그에 따라 고금리 대출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도 문제지만 열악한 금융 인프라로 인해 지역민들이 비은행권 대출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더 큰 문제다. 자치단체들은 은행권에만 맡기지 말고 금융 인프라 개선에 나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아야 한다. 금융권도 고금리 유지시 피해가 큰 취약 차주를 위한 연체율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