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본 이슈] 설 앞두고 ‘집중 단속’…자문단·지원금 등 ‘청년 정책’
2024년 01월 28일(일) 12:25 가가
#집중 단속
▲설 앞두고 제수용품 원산지 표시 점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설 명절을 앞두고 수요 급증하는 제수용품·전통식품·선물용품·지역 유명 특산품에 대한 원산지 표시 일제 점검에 나선다.외국산을 국내산으로 표시해 원산지를 혼동하게 하거나 위장 표시로 인지도 낮은 지역 농산물을 유명 지역 특산품으로 판매하는 등의 행위를 집중 점검한다. 적발된 업체에는 거짓 표시한 경우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 미표시 경우 10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한다.
▲수입 축산물 이력 관리 점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설까지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수입 쇠고기·돼지고기에 대해 이력관리제도 준수 여부를 점검한다. 35명의 특별 단속반은 내달 8일까지 수입 축산물 취급 업소의 거래 내역 기록·관리, 이력번호 표시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위반 시에는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대 500만원의 벌금 또는 과태료가 부과된다.
#청년 정책
▲해양수산부 2030자문단
해양수산 발전을 위해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는 ‘해양수산부 2030자문단’이 발대식을 갖고 본격 업무에 돌입했다. 해수부 ‘2030자문단’은 해양수산 업계 종사자·대학생·항해사·변호사 등 다양한 경력과 배경을 가진 단원들로 구성됐다. 자문단은 수산·어촌, 해운·해사·항만, 해양환경, 해양산업 4개 분과로 나뉘어, 해양수산부 주요 정책에 대한 청년여론을 전달한다.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
고용노동부가 제조업 등 중소기업의 청년근로자 인력난을 해소하고 취업 청년들에게는 임금 격차를 완화시키기 위해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을 지급한다. 지원 대상은 만 15~34세의 청년 중 제조업 중소기업에 지난해 10월 이후 정규직으로 취업해 3개월 이상 근속한 근로자이며, 해당 근로자는 3개월·6개월 차에 각 100만원씩 총 200만원을 직접 계좌로 받게 된다. 지난 22일부터 접수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원인원 한도 초과시 신청·지원이 종료된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설 앞두고 제수용품 원산지 표시 점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설 명절을 앞두고 수요 급증하는 제수용품·전통식품·선물용품·지역 유명 특산품에 대한 원산지 표시 일제 점검에 나선다.외국산을 국내산으로 표시해 원산지를 혼동하게 하거나 위장 표시로 인지도 낮은 지역 농산물을 유명 지역 특산품으로 판매하는 등의 행위를 집중 점검한다. 적발된 업체에는 거짓 표시한 경우 7년 이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 벌금, 미표시 경우 10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한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설까지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수입 쇠고기·돼지고기에 대해 이력관리제도 준수 여부를 점검한다. 35명의 특별 단속반은 내달 8일까지 수입 축산물 취급 업소의 거래 내역 기록·관리, 이력번호 표시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위반 시에는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최대 500만원의 벌금 또는 과태료가 부과된다.
![]() ![]() |
해양수산부 2030자문단 발대식 <해양수산부 제공> |
▲해양수산부 2030자문단
해양수산 발전을 위해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는 ‘해양수산부 2030자문단’이 발대식을 갖고 본격 업무에 돌입했다. 해수부 ‘2030자문단’은 해양수산 업계 종사자·대학생·항해사·변호사 등 다양한 경력과 배경을 가진 단원들로 구성됐다. 자문단은 수산·어촌, 해운·해사·항만, 해양환경, 해양산업 4개 분과로 나뉘어, 해양수산부 주요 정책에 대한 청년여론을 전달한다.
고용노동부가 제조업 등 중소기업의 청년근로자 인력난을 해소하고 취업 청년들에게는 임금 격차를 완화시키기 위해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을 지급한다. 지원 대상은 만 15~34세의 청년 중 제조업 중소기업에 지난해 10월 이후 정규직으로 취업해 3개월 이상 근속한 근로자이며, 해당 근로자는 3개월·6개월 차에 각 100만원씩 총 200만원을 직접 계좌로 받게 된다. 지난 22일부터 접수가 진행되고 있으며, 지원인원 한도 초과시 신청·지원이 종료된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