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깜이 선거구에 정치 신인 ‘불공정 게임’
2024년 01월 25일(목) 00:00
4월 10일 치러지는 총선이 70여일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아직까지 선거구가 결정되지 않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난해 12월 5일 제22대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50여 일이 되도록 결정하지 않고 있다. 선거구제 개편의 키를 쥐고 있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선거구 획정보다는 비례대표제에만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경우 오늘 의원총회를 열고 선거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는 입장이지만 선거구 획정은 논의조차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에 제출된 선거구 획정안 초안에 따르면 광주는 변함이 없지만 전남에선 서부권에서 1곳이 줄고 동부권에서 1곳이 늘었다. 영암·무안·신안 선거구가 해체돼 영암이 해남·완도·진도에 묶이고 무안은 나주·화순에, 신안은 목포에 편입됐다. 순천·광양·곡성·구례 갑과 을 2개 선거구에서 순천이 분리돼 갑과 을로 나뉘고 광양·곡성·구례로 조정됐다.

이렇다보니 선거를 준비하는 정치 신인들이 어떤 선거구를 대상으로 운동을 할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일단은 기존 선거구를 기준으로 운동을 한다지만 선거구가 최종 확정될때까지 한 곳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다. 총선 선거구 획정이 늦어진 것은 이번만이 아니다. 2000년 21대때는 선거일 39일전에, 2016년 20대때는 선거일 42일전에야 확정됐다. 법률 제정권을 가진 현역 국회의원들은 후원금 모집 등에서도 정치 신인에 비해 누리는 혜택이 많다. 선거 시작때부터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을 해야 하는 정치 신인 입장에선 ‘불공정 게임’이라는 불만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여야 정치권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비례대표제 적용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하루 빨리 선거구를 확정하길 바란다. 나아가 소속 정당 주도로 합동 연설회나 토론회를 마련해 후보별 정치 비전 등을 당원과 유권자들에게 평가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줘야 할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