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사지구 이전사업 ‘땅장사’ 논란이라니
2024년 01월 24일(수) 00:00
무등산 원효사 집단시설지구(무등산장 일대) 이전 사업을 놓고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와 상인들이 갈등을 빚고 있다. 사업이 장기간 지연되는데다 이전 대상지 땅값을 놓고 환경부가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상인들이 반발하면서다.

환경부는 무등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한후 생태복원 차원에서 30년 이상 영업을 해온 무등산장 일대 식당 등을 북구 충효동 일대로 이전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충효동 일대 14만3000㎡ 부지에 ‘광주생태문화마을’을 조성해 무등산장 일대 상가를 이주시키겠다며 2016년 사업을 시작해 당초에는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3년째 사업비를 확보하지 못해 현재 공정률이 5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상인들은 5년이면 끝난다는 사업이 8년째 진행되면서 생계를 위해 일용직을 전전하고 있다고 하소연 하고 있다.

게다가 이전지 땅값을 환경부가 자신들이 구입한 가격의 10배에 분양받아가라고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환경부는 평당 30만원에 사들여 놓고 감정가 대로 자신들에게 분양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상인들의 분노는 어찌보면 당연하다. 무엇보다도 사업 지연에 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비와 시비가 들어가는 사업인 만큼 환경부와 광주시가 안이하게 대처한 점을 인정하고 지금부터라도 사업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

다만 이전지 땅값에 대해서는 무작정 환경부만 탓할 일은 아니다. 광주생태문화마을 조성 기대감에 주변 땅값이 이미 10배 가량 오른 상황이고 환경부 지침에 부지 공급가격을 감정가로 한다고 규정돼 있어 상인들의 주장만 받아들일 수는 없다. 개발 기대감에 주변 땅값이 폭등했는데 자신들에게 원가에 주라고 하는 것은 개발 이익을 독식하겠다는 오해를 살 소지도 충분하다. 환경부는 사업 지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최대한 빨리 마무리 짓되 상인들도 땅값 갈등을 상식선에서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