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오른 민주당 경선…‘시스템 공천’ 지켜야
2024년 01월 22일(월) 00:00 가가
4·10 총선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막을 올렸다.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 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는 당장 오늘부터 다음달 4일까지 후보 적합도 조사에 들어간다. 이를 위해 국내 여론조사기관 6곳을 선정하고 통신사 제공 안심번호로 시민대상 ARS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오늘부터 내일까지 이틀간 적합도 조사를 실시하는 광주권 지역구의 경우 예비후보들마다 문자메시지를 통해 적합 후보로 자신을 선택해 달라며 여론조사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공관위는 23일부터 29일까지 현장 실사도 진행한다. 실사팀은 지역구를 돌며 후보들에 대한 세평과 당원, 원로 면담 등을 통해 전반적인 선거구 현황을 파악해 공관위에 보고하게 된다. 31일부터 2월 4일까지는 면접을 실시하고 컷오프를 통해 경선 후보자를 확정한후 2월 15일부터 지역구별로 경선을 실시해 2월말 께 후보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민주당이 경선에 앞서 공개한 공천 규정을 보면 ‘현역 기득권 타파’라는 기조 아래 하위 평가자에 대한 불이익을 대폭 강화한 점이 특징이다. 이전까지는 하위 20%의 현역 의원에 대해 경선 득표의 20%를 감산했는데 이번 총선에선 하위 10% 의원의 감산 비율을 30%로 높였다. 반면 여성·장애인·청년 등에 대해서는 가산점을 부여하고 시스템 공천을 통해 성범죄자나 음주운전, 투기성 다주택자 등에 대해서는 예외없이 부적격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제3지대 신당이 등장하긴 했지만 민주당 경선이 호남에선 사실상 본선과 같다. 그만큼 지역 유권자들의 관심도 많고 후보자간 신경전도 치열하다. 잡음을 최소화 하는 방법은 민주당 스스로 약속한 것처럼 시스템 공천을 실천하는 길 밖에 없다. 정한 룰에 따라 예외없이 적용하는 것이 시스템 공천이다. 이 약속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친명 공천’이란 비판을 피하기 힘들다. 텃밭인 호남에서 제대로 된 공천이 이뤄져야 민주당이 승리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