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해외 진출 때 가장 필요한 것은 ‘통역·번역 지원’
2024년 01월 21일(일) 08:00 가가
문체부·한국콘텐츠진흥원, ‘2023 웹툰 실태조사’ 결과
작가 월 평균 수입 9,800여만원…1일 평균 9.5시간 창작
2022년 웹툰 산업 총 매출액 1조8,290억원 ‘역대 최대’
작가 월 평균 수입 9,800여만원…1일 평균 9.5시간 창작
2022년 웹툰 산업 총 매출액 1조8,290억원 ‘역대 최대’
국내 웹툰 산업이 해외 진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은 ‘통역 및 번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웹툰 작가의 1년 평균 수입은 9800여만원 이며, 1일 평균 창작 시간은 9.5시간으로 조사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2023 웹툰 실태조사(사업체, 작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 우리나라 웹툰 플랫폼·제작사 등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가장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통역 및 번역지원’이라는 응답이 53.9%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해외 바이어·유통사와의 네트워크 구축(46.7%)’, ‘해외시장 조사 및 시장정보 제공(41.8%)’, ‘해외 마케팅 전문 인력 양성 및 지원(38.2%)’ 순이었다.
2022년 웹툰 산업 매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8290억원으로 전년(1조 5660억원) 보다 16.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산업 중에서도 플랫폼사의 성장이 두드러져 2022년 매출액은 1조1,277억원으로 전년보다 36.8%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웹툰 작가의 연평균 수입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1년 동안 1년 내내 연재한 경우’는 약 9840만원으로 1년 전보다 2030만원 줄었으며, ‘최근 1년 이내 연재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년보다 2097만원 감소한 6476만원이었다. 이같은 감소 이유는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완화에 따라 웹툰 이용 횟수가 감소한 반면, 산업 내의 경쟁이 심화 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웹툰 작가가 1주일 중 창작을 하는 평균 일수는 5.8일로 전년과 비슷했으나, ‘7일’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전년(37.2%) 보다 4.1% 감소한 33.1% 였다. 또한 1주일 중 창작하는 날의 평균 소요 시간은 9.5시간으로 전년보다 1시간 줄어들었다.
창작활동에 있어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번에 처음으로 웹툰 제작시 AI를 활용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사업체의 경우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가 49.7%, ‘의향 있음’이 41.2%, ‘의향 없음’이 9.1% 였다. 작가들의 경우 ‘의향 있음’은 36.1%를 기록했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콘텐츠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2023 웹툰 실태조사(사업체, 작가)’ 결과를 발표했다.
2022년 웹툰 산업 매출액은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8290억원으로 전년(1조 5660억원) 보다 16.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툰 작가의 연평균 수입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1년 동안 1년 내내 연재한 경우’는 약 9840만원으로 1년 전보다 2030만원 줄었으며, ‘최근 1년 이내 연재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년보다 2097만원 감소한 6476만원이었다. 이같은 감소 이유는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완화에 따라 웹툰 이용 횟수가 감소한 반면, 산업 내의 경쟁이 심화 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창작활동에 있어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번에 처음으로 웹툰 제작시 AI를 활용할 생각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사업체의 경우는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가 49.7%, ‘의향 있음’이 41.2%, ‘의향 없음’이 9.1% 였다. 작가들의 경우 ‘의향 있음’은 36.1%를 기록했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