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동물보호센터 도입, 예산부터 살펴야
2024년 01월 11일(목) 00:00
광주시가 올해부터 ‘자치구 동물보호센터’(센터)를 도입했지만 시범 운영을 맡은 지자체들이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유기된 동물을 위탁할 동물병원을 찾아야 하지만 적합한 곳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최근 증가세에 있는 유기 및 유실 동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지역 내 동물병원을 지정해 위탁 관리하는 센터를 운영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제도를 도입하고, 북구와 광산구에서 시범 운영 하도록 했다. 광주시는 동물보호소의 포화 상태로 인해 보호중인 반려동물의 질병 발생 가능성과 자치구가 관리하면 유기동물의 주인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제도를 도입했다.

하지만 운영에 나선 해당 지자체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태다. 당장 시가 위탁 업체 선정 절차를 진행하도록 안내했지만 위탁을 희망하는 동물병원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동물병원당 입소 동물을 100마리로 제한하고 예산을 한정해 마리당 20만 원으로 치료비와 사룟값 등 각종 관리비용을 충당해야 하는데 턱없이 부족해 이 비용으로는 위탁을 맡을 수 없다는 것이 업계의 반응이다.

더구나 치료비의 경우 강아지와 고양이 등 동물별, 종별, 증상별로 달라서 정해진 금액을 초과할 가능성이 큰 것도 문제다. 동물병원은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실제로 하루 입원 비용만 5kg 이하는 7만 원, 20kg 이상은 11만 원으로 광주시가 책정한 금액을 훨씬 뛰어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에서만 매년 3000마리 이상의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지자체의 당연한 의무이다. 동물보호센터의 본격적인 운영에 앞서 지역 내 운영을 맡을 동물병원이 얼마나 있는지, 관리비용과 비교해 예산은 충분한지 면밀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