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명팔이’ 극성 총선 여론조사 신뢰성 의문
2023년 12월 27일(수) 00:00
내년 총선을 앞두고 각종 여론조사가 봇물을 이루고 있는데 곳곳에서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가장 심각한 부작용은 일부 예비후보들의 과도한 이재명 마케팅, 이른바 ‘친명팔이’이다.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인 호남에선 이재명 대표와 관련된 경력을 넣으면 여론조사에서 인지도가 올라간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25일 기준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광주전남지역 민주당 소속 예비후보 49명 가운데 3분의 1 가량인 16명(32.6%)이 이재명 관련 직함을 대표 경력으로 명시했다.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관련 직함까지 포함하면 19명이나 된다.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과도한 친명팔이로 인해 언론사 여론조사가 발표 직전 취소되기도 했다. 광주 모 방송사가 진행한 후보 선호도 조사에서 광주 광산갑 한 후보가 이재명 당 대표 이름이 들어간 경력 1개만 등록해 상대 후보측이 이의를 제기했기 때문이다. 예비후보 등록시 경력 2개를 등록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후보는 1개만 등록해도 제재하지 못하는 선거법을 악용한 것이다. 민주당은 당내 경선시 경력 표기에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 등 특정 정치인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지만 예비후보 경선에는 이런 룰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

광산갑 파행이후 광주에서만 예비후보 4명이 특정 정치인 관련 대표 경력 1개만 선관위에 등록했다. 여론조사 파행을 막으려면 민주당이 지금부터라도 본 경선처럼 특정 정치인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민주당 경선이 본선이나 마찬가지인 호남에선 예비후보 여론조사부터 공정한 룰로 시민들의 여론이 왜곡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그 책임은 당연히 민주당에 있다. 선관위도 여론조사 기관마다 들쭉날쭉한 결과가 여론조사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현실을 감안해 조사 샘플과 설문 문항, 후보자별 경력의 공정성 여부에 대한 사전 사후 관리를 강화해야 할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