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혁신도시 상가 43.4% ‘텅텅’ 3층은 절반이 공실
2023년 10월 26일(목) 11:40
나주시, 상업·업무시설 6967곳 방문 전수조사
3025곳 공실…1층 40.2%·2층 이상 45.9% 비어
혁신도시 상권 쏠림…4곳 중 1곳 음식점
‘공동화 심화’ 주말보다 평일 매출 높아
업종 다양화·권역별 특성화 대안 추진을

나주시가 올해 ‘혁신도시 상가 공실률 실태조사 용역’을 자체적으로 벌인 결과 나주 혁신도시 집합건물·일반건물의 공실률은 43.4%로 집계됐다. 나주 혁신도시 전경.<나주시 제공>

‘조성 10년 차’ 나주 빛가람혁신도시가 인구 4만명을 눈앞에 뒀지만 주말 공동화와 특정 업종 쏠림 현상이 심화하면서 상가 공실률이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나주시 ‘혁신도시 상가 공실률 실태조사 용역’ 자료에 따르면 나주 빛가람동(혁신도시) 집합건물·일반건물의 공실률은 43.4%로 집계됐다.

나주시는 전문 용역을 통해 빛가람동에 있는 상업시설과 업무시설 6967곳을 지난 7~8월 현장 방문 조사하며 공실 실태를 조사·분석했다.

공공기관과 오피스텔 등을 제외하고 빛가람동에는 집합건물 6494곳(93.2%)과 일반건물 473곳(6.8%) 등 6967곳의 상업·업무시설이 있다.

이들 시설 가운데 운영 중인 건물은 56.6%에 해당하는 3942곳으로, 나머지 43.4%(3025곳)는 공실 상태였다.

나주시는 혁신도시를 중심상업지역, 건축물 유형에 따른 아파트 상가, 일반상가 등 6개 권역으로 나눠 조사했다.

이 가운데 4602실로 가장 많은 상가가 있는 중심상업지역 상가 공실률은 43.9%로 나타났으며 아파트 상가보다 일반 상가 공실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나주 혁신도시 상권 층별 공실률.<나주시 제공>
층수별 공실률은 1층 40.2%, 2층 이상 45.9%로 나타났다. 3층 상가 공실률은 50.2%로 가장 높았다.

나주시가 혁신도시 운영 상가 3942곳을 분석해보니 가장 많은 업종은 음식점(26.3%·1037곳)이었다. 기업 사무실·금융업·공기관 등 기타가 25.8%(1017곳)로 뒤를 이었고, 3위는 소매업(11.0%·434곳)이었다.

사업시설 관리·임대서비스업(1.4%·56곳)과 보건의료업(1.4%·57곳), 숙박업(2.3%·89곳) 등은 빈약했다.

혁신도시 상권은 대부분 업종이 평일 매출이 높았고 주말, 특히 일요일 매출은 낮은 편이었다.

종합소매업 월평균 매출액은 8895만원으로, 혁신도시 상권 업종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가운데 편의점은 주중, 슈퍼마켓은 주말 매출이 높았다.

종합소매업에 이어 한식 음식점업(2138만원), 주점업(1377만원), 간이 음식점업(1286만원), 음료점업(1186만원), 스포츠 서비스업(807만원), 기타 교육기관(632만원), 이·미용업(376만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나주시 제공>
나주 혁신도시는 전국 10개 혁신도시 가운데 가장 많은 16개 공공기관·공기업이 이전했지만, 인구는 계획인구(4만9499명)의 80%인 3만9000명대(올해 상반기 기준)에 머무르고 있다.

정주여건 만족도는 68점으로, 전국 10개 혁신도시 평균 만족도(69점)에 못 미치고, 부산(75점), 울산(72.2점), 경남(71점) 등을 밑돌았다.

정주여건 개선이 더뎌 이전 인구(7698명)의 가족동반 이주율은 71.7%에 그쳤다.

나주 혁신도시의 집합상가 임대료는 ㎡당 1만1200원으로, 전국 평균(2만6700원)의 절반에 못 미치고, 혁신도시 평균(1만7000원)도 밑돌았다.

나주시는 이번 조사에서 30~40대, 10대 미만 인구 분포가 높은 도시 특성을 반영해 아동 돌봄·교육, 문화·예술 등 업종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또 주말 상권 활성화와 권역별 상권 특화, 상가 과잉공급 대안 마련을 상권 활성화 기본 방향으로 정했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그간 추정치에 의존했던 공실률 파악을 위한 이번 전수조사는 상가 건축물, 과세자료에 기반을 둔 현장 조사의 결과물로 신뢰도가 높다”며 “권역별, 층별 상가 공실 및 운영 세부 자료를 확보해 원인을 진단하고 실질적인 공실 해소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나주=손영철 기자 ycson@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