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혁신의 본질은 지역·필수 의료 강화다
2023년 10월 23일(월) 00:00
정부가 ‘지역 의료 인프라 붕괴’ 위기에 대응해 지방 국립대를 중심으로 지역·필수 의료를 강화하는 의료 혁신안을 발표하는 등 의료체계 개편 작업에 속도가 붙고 있는 것 같아 기대가 크다.

정부가 엊그제 발표한 의료 혁신안은 의사 수를 늘려 필수 의료 분야 유입을 유도하고, 국립대병원 등 거점 기관을 필수 의료 중추로 삼아 지역 병·의원과 협력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국립대병원의 소관 부처도 교육부에서 보건복지부로 바꿔 진료·연구·교육 등의 분야에서 균형적인 발전을 꾀하기로 했다. ‘소아과 오픈런’(문 여는 시간에 맞춰 대기)과 ‘응급실 뺑뺑이’로 대표되는 지역·필수 의료 붕괴와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전략인데 이제라도 시행하겠다니 다행이다.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현실을 따진다면 정부의 이번 대책은 늦은 감이 있다. 원정 진료를 위해 아픈 몸을 이끌고 새벽 KTX를 타고 삼성병원 등 이른바 서울의 ‘빅5 병원’을 찾는 지방 환자들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게다가 전남은 의대 정원을 늘리겠다고 하는 마당에도 의료 인력을 양성할 의과대학이 없는 유일한 지역으로 남아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런 이유가 아니더라도 지역의 편향된 의료체계 실태는 정부 대책을 하루도 더 늦출 수가 없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오죽하면 대통령까지 나서 의료체계 대수술의 필요성을 거론하고, 지방 국립대 병원장들이 의대 정원을 지금 증원해도 늦었다고 한 목소리로 호소 했겠는가.

이번 발표로 무너진 의료 서비스의 공급과 이용 체계를 바로 세우겠다는 정부의 의지는 확인됐다. 이젠 얼마나 신속하게 어떤 방법으로 시행할지가 관건이다. 정부와 의료계는 혁신안 성공을 위해선 의료 인프라 확충과 인재 양성이 필수인 만큼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세부안을 조율해야 할 것이다.

실시간 핫뉴스

많이 본 뉴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