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 확충·조화 반입금지…바뀌는 장묘문화
2023년 10월 10일(화) 00:00 가가
매장 대신 화장(火葬)이 일반화 되면서 자치단체들이 화장장과 봉안당 등 화장시설 확충에 나서고 있다. 일부 지자체들은 환경보호를 이유로 공원묘지에 조화(造花) 반입을 금지하는 등 장묘문화 전반에 변화가 일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의 사망자 10명 중 9명 가량이 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지역 내 사망자 2만 5549명 가운데 88.7%인 2만 2683명이 화장을 선택할 정도로 화장문화가 정착했다.
이에 따라 화장시설 확충도 잇따라 광주시도시공사가 운영하는 영락공원은 2000년 개원 당시 3개에 불과했던 화장로를 11개까지 꾸준히 증설했다. 1만 5050기를 봉안할 수 있는 1추모관이 가득참에 따라 4만 5000여 기를 수용할 수 있는 2추모관을 조성했지만 현재 10% 정도만 비어있다. 한달 평균 260여명이 추모관에 안치되고 있는데 이런 추세라면 1년 6개월후에 2추모관도 가득찰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포화 상태에 이른 화장시설 확충을 위해 2026년까지 북구 효령동 일대에 4만 5000기의 영락공원 3봉안당과 화장로 6기를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최근 증가하는 자연장 수요를 감안해 2만 5000기 규모의 자연장지도 신설할 방침이다.
공원묘지에 플라스틱으로 만든 조화 반입을 금지하는 지자체도 늘고 있다. 순천시는 지난해 설 명절부터 성묘 시 조화 반입금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최근에는 이런 움직임이 부산시 등 전국으로 확대되고 있다. 편리성을 이유로 조화를 찾는 사람들이 많지만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탓에 반입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이렇듯 환경 친화적으로 변화하는 장묘문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고 있다. 그런 만큼 자치단체들은 친환경적인 장묘문화가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의 사망자 10명 중 9명 가량이 화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지역 내 사망자 2만 5549명 가운데 88.7%인 2만 2683명이 화장을 선택할 정도로 화장문화가 정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