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총파업 이용객 불편 최소화해야
2023년 09월 15일(금) 00:00 가가
전국 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이 어제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나흘간 한시적 총파업에 들어갔다. 철도노조는 파업 첫날인 어제 광주 송정역과 서울, 부산, 대전 등지에서 지부별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었다. 노조는 이번 총파업에서 수서행 고속철도(KTX) 투입 등 공공철도 확대, 4조 2교대 전면 시행, 성실 교섭 등을 사측에 촉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국토교통부가 수서∼부산노선을 감축하며 증편한 KTX의 시·종착을 수서역에서 하면 된다. KTX와 SRT 연결 운행으로 효율을 극대화하고 운임차별을 해소하라”며 ‘수서행 KTX 운행’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코레일은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파업은 수서행 KTX 운행과 고속철도 통합 등 교섭을 통해 해결할 수 없는 정부정책 사항을 핵심 목적으로 하고 있어 정당성이 없다”며 “일체의 불법행위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철도노조 요구사항 가운데 ‘공공철도 확대’에 눈길이 쏠린다. 이번 총파업에 대해 경찰력 투입과 같이 법과 원칙에 따른 강경 대처만이 능사는 아닐 것이다. 코레일은 ‘철도는 공공재’라는 대전제 하에 노조와 협상장에 마주 앉아야 한다. 쟁점은 ‘수서행 고속철도(KTX) 투입’이다. ‘공공철도 확대’는 국민들의 바람이기도 하다.
코레일은 노조의 요구사항을 무조건 안 된다 배척하고 폄하할 것이 아니라 철도의 공공성과 효율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상호 의견을 모아야 한다. 철도노조와 코레일은 총파업 기간 동안 이용객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다.
줄어든 열차 운행으로 인해 이용객들은 큰 불편을 겪었고 물류이동에도 차질을 빚었다. 정부와 코레일, 철도노조는 ‘공공철도 확대’라는 측면에서 국민들을 위한 최선의 합의점을 이끌어내야 한다.
줄어든 열차 운행으로 인해 이용객들은 큰 불편을 겪었고 물류이동에도 차질을 빚었다. 정부와 코레일, 철도노조는 ‘공공철도 확대’라는 측면에서 국민들을 위한 최선의 합의점을 이끌어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