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넘는 고가 수입차 ‘고속질주’
2023년 08월 07일(월) 18:52 가가
올 상반기 3만7천대 판매…전년 대비 9.3% 증가 ‘역대 최다’
수입차 브랜드,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라인업 늘리며 시장 커져
수입차 브랜드,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라인업 늘리며 시장 커져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지난 달 국내 출시한 전기 SUV ‘더 뉴 EQE SUV’. 판매가격이 1억990만원부터 시작하는 고가의 모델이지만 국내 소비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제공>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수입차의 인기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1억원이 넘는 고가의 수입차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무엇보다 올해 수입차 판매가 전년 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고가의 수입차는 오히려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없음에도 고가의 전기차를 선택하는 사례도 늘어나는 분위기다.
7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억원이 넘는 고가 수입차가 3만7000여대 판매되며 상반기 기준 역대 최다 판매 기록을 기록했다.
올 1∼6월 1억원 이상의 수입차는 총 3만7239대 판매됐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만4055대가 판매된 것과 비교해 9.3%가 증가한 것이다.
전체 수입차 중 고가 수입차 판매 비중은 전년 상반기 대비 2.5%포인트 올라 올해 상반기 전체 수입차 판매 대수(13만689대)의 28.5%에 달했다.
1억원 이상 수입차 판매량은 최근 5년 사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상반기 기준 2019년 1만1084대에서 2020년 1만9229대로 늘었다가 2021년 3만3741대로 급증하며 매년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고가 수입차 판매 비중은 상반기 기준 2019년 10.1%, 2020년 15%, 2021년 22.8% 등으로 증가해 올해 30%에 육박했다. 4년 만에 비중이 거의 3배로 늘었다.
전체 수입차 판매 대수는 상반기 기준 2021년 14만7000여대에서 작년 13만1000여대로 줄었고, 올해도 소폭 감소했는데도 고가 수입차 판매량은 불어났다.
업계에서는 수입차 브랜드들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프리미엄 친환경차 라인업을 집중적으로 늘리면서 고가 수입차 시장 규모를 키웠다고 분석한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1억원 이상의 수입차 가운데 57%(2만1190대)는 친환경차였다. 판매량은 지난해 상반기(1만7498대)보다 3700대 가까이 늘었으며, 고가 수입차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7% 증가했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인 메르세데스-벤츠는 올해 고성능 순수전기 세단 ‘더 뉴 메르세데스-AMG EQE 53 4매틱(MATIC)+’과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EQE SUV’를 국내 출시하는 등 1억원이 넘는 전기차 모델을 선보인 바 있다.
또 BMW 역시 올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스포츠액티비티차(SAV) ‘뉴 XM’ 등을 출시하는 등 고가의 수입차가 잇달아 출시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고가 수입차 판매 성장은 소득 양극화의 영향으로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의 판매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올해 상반기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인 롤스로이스, 벤틀리, 람보르기니,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브랜드 판매량은 2066대로, 지난해 상반기 1610대에서 28.3% 늘었다.
법인 명의의 고가 수입차 구매량이 늘어난 점도 고가 수입차 규모 확대에 한몫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규 등록된 1억원 이상 수입 법인차는 지난해 상반기 2만2928대에서 올해 상반기 2만4014대로 1086대(4.7%) 늘었다.
법인차는 이르면 올해 9월부터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연두색 번호판을 부착해야 하는데, 기존에 등록된 차에는 소급 적용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전용 번호판 제도 시행 전 고가 수입차를 법인 명의로 미리 사 두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올 1∼6월 1억원 이상의 수입차는 총 3만7239대 판매됐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3만4055대가 판매된 것과 비교해 9.3%가 증가한 것이다.
전체 수입차 중 고가 수입차 판매 비중은 전년 상반기 대비 2.5%포인트 올라 올해 상반기 전체 수입차 판매 대수(13만689대)의 28.5%에 달했다.
고가 수입차 판매 비중은 상반기 기준 2019년 10.1%, 2020년 15%, 2021년 22.8% 등으로 증가해 올해 30%에 육박했다. 4년 만에 비중이 거의 3배로 늘었다.
업계에서는 수입차 브랜드들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프리미엄 친환경차 라인업을 집중적으로 늘리면서 고가 수입차 시장 규모를 키웠다고 분석한다.
올해 상반기 판매된 1억원 이상의 수입차 가운데 57%(2만1190대)는 친환경차였다. 판매량은 지난해 상반기(1만7498대)보다 3700대 가까이 늘었으며, 고가 수입차 판매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7% 증가했다.
주요 수입차 브랜드인 메르세데스-벤츠는 올해 고성능 순수전기 세단 ‘더 뉴 메르세데스-AMG EQE 53 4매틱(MATIC)+’과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EQE SUV’를 국내 출시하는 등 1억원이 넘는 전기차 모델을 선보인 바 있다.
또 BMW 역시 올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스포츠액티비티차(SAV) ‘뉴 XM’ 등을 출시하는 등 고가의 수입차가 잇달아 출시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분위기다.
고가 수입차 판매 성장은 소득 양극화의 영향으로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의 판매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올해 상반기 초고가 수입차 브랜드인 롤스로이스, 벤틀리, 람보르기니, 메르세데스-마이바흐 브랜드 판매량은 2066대로, 지난해 상반기 1610대에서 28.3% 늘었다.
법인 명의의 고가 수입차 구매량이 늘어난 점도 고가 수입차 규모 확대에 한몫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규 등록된 1억원 이상 수입 법인차는 지난해 상반기 2만2928대에서 올해 상반기 2만4014대로 1086대(4.7%) 늘었다.
법인차는 이르면 올해 9월부터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연두색 번호판을 부착해야 하는데, 기존에 등록된 차에는 소급 적용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전용 번호판 제도 시행 전 고가 수입차를 법인 명의로 미리 사 두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