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시, 맞춤형 장애인 복지정책 박차
2022년 02월 23일(수) 19:20
공공어린이 재활센터 건립
4개 유형 일자리 사업 추진 등
올 525억원 투입 서비스 강화
목포시가 장애인과 그 가족의 편안하고 행복한 삶을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복지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목포시는 오는 2024년 건립 예정인 공공어린이 재활의료센터(72억원)에 재활의학과 등 진료과목을 개설해 전문 재활치료를 제공할 계획이다.

센터에는 의료인력 17명이 근무할 예정으로 성장단계와 장애유형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의료장비(75종)와 시설을 구비해 전문적 치료와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원거리 치료에 대한 경제적 부담, 가족난민, 잦은 이직 등 장애아동가족의 불안요소를 해소하는 등 효과가 기대된다.

또 4개 유형(일반·복지형, 안마사 파견, 전남형 권리 중심)의 장애인 일자리 사업을 추진해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미취업 장애인 453명에게 안정적인 자립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인 일자리 사업은 지난해 대비 참여자가 60명 늘어났고, 예산도 6억원이 증액됐다.

특히 전남형 권리 중심 사업은 올해 신규사업으로 1억7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되는데 장애인 20명이 장애인 권익 옹호 활동, 문화예술 활동, 장애 인식개선 강의·공연 등을 펼칠 예정이다.

장애인이 불편함 없이 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목포장애인복지관 운영비 지원, 단기 거주시설 운영 활성화,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 급식비 지원 등을 실시한다.

시는 또 보호자 부재시 돌봄이 필요한 장애인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단기 거주시설을 운영한다. 취업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의 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중증장애인들에게 중식비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 16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바우처(이용권) 서비스를 확대한다.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의 내실화를 위해 시간당 단가 인상과 대상자 지속 확대 등을 통해 활동지원 인력과 수급자의 연계 활성화를 도모한다. 기존 활동지원 서비스 수급자가 만 65세가 되면 노인장기요양수급자로 전환돼 발생하는 급여 감소 등을 보완하기 위해 65세 보전 급여를 제공한다.

발달장애인의 주간 활동 서비스를 확대(기본형 월 125시간)하고, 발달장애인의 재활서비스도 강화한다.

이 밖에도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 후 활동 서비스,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서비스, 장애인 보조기기 임대 서비스 등의 맞춤형 복지를 추진한다.

시는 장애인 가정이 행복한 복지 추진에도 나서 출산·임신기간 4개월 이상의 태아를 유산·사산한 등록 여성장애인에게 태아 1인당 100만원의 출산비용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올해 장애인연금 기초급여액을 최대 30만7500원으로 인상했으며, 만 18세 미만 장애인에게 지급되는 장애 아동수당도 중증 2만원, 경증 1만원씩 인상했다. 또 올해 신규 시책으로 발달장애인의 적성 개발과 취업 역량 강화를 위해 자격증 취득 비용 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목포시 관계자는 “장애인과 가족의 목소리를 경청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위해 다양한 복지 시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목포=문병선 기자·서부취재본부장 moon@kwangju.co.kr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