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지역 의대 설립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2021년 08월 18일(수) 01:00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전남권 국립 의과대학 설립 요구가 다시 거세지고 있다. 전남 지역은 전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곳이며, 감염병 대처를 위한 공공의료 기반도 취약하기 짝이 없기 때문이다.

정부와 민주당은 지난해 7월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 방안’을 내놓으면서 의대가 없는 지역엔 적극 신설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전남에 우선적으로 의대가 설립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하지만 의사단체의 집단 휴진에 밀려 두 달 만에 원점 재검토 선언이 나온 뒤 1년이 다 되도록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앞서 전남도와 주민들은 지난 30년간 줄기차게 정부에 의대 신설을 요청해 왔다. 도민들이 건강권조차 제대로 보장받지 못할 만큼 열악한 의료서비스 환경을 개선해 달라는 호소였다. 전남 지역의 기대수명은 80.7세로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다. 반면 1인당 의료비는 241만 원으로 가장 많다.

그런데도 의료 접근성은 취약하기만 하다. 전국 응급의료 취약 시군 99곳 가운데 17곳이 전남에 쏠려 있다. 상급 종합병원이 없어 중증환자 진료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인구 10만 명당 전문의는 뇌혈관·소아외과 0명, 응급의학과는 1.4명으로 전국 최하위다. 이로 인해 연간 80만 명의 도민이 치료를 위해 타 지역을 찾으면서 1조 5000억 원이 유출되고 있다. 더욱이 전국 섬 가운데 65%인 2165개가 전남에 산재해 의료 사각지대가 많다.

하지만 의대 신설이 미뤄지면서 섬 지역 등에서는 아찔한 응급 상황이 지금도 반복되고 있다. 따라서 우선 의사 인력의 안정적인 확보가 시급하다. 이제는 정부가 결단을 내릴 때다.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의료 여건이 가장 열악한 전남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만 운영되는 불균형을 조속히 바로잡아야 한다. 여야 정치권과 의사단체도 적극 협조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