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의 미래 ‘인공지능 산업’ 분산 안 된다
2021년 08월 11일(수) 01:00
광주는 전국 유일의 정부 공인 ‘인공지능(AI) 중심 도시’이다. 그 출발은 지난 2019년 1월 광역자치단체 예비타당성 면제 사업 신청 때 광주시가 ‘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을 제안해 선정된 것이었다. 수조 원대의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포기하는 대신 전국에서 유일하게 미래 신산업인 AI 육성을 선택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데이터센터 등 핵심 인프라 구축에 나섰고 연구개발,창업 지원, 인재 양성에 집중하며 관련 기업 100개를 유치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처럼 광주시가 모든 역량을 집중해 온 AI 산업 육성 정책이 뜻밖의 복병을 만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최근 내놓은 ‘지역 거점 중심 AI 확산 계획’이 그것이다. 이는 AI 산업과 관련해 광주는 인프라, 충청권은 연구개발, 강원권은 데이터 활용, 수도권은 민간 주도 글로벌화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즉 AI 산업의 전국 분산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다.

광주시는 즉각 해당 계획의 철회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있다. 이제 갓 걸음마를 뗀 국내 AI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당분간 광주에 집적화하는 것이 필수적인데도 정부가 되레 분산화를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지난 3월에도 과기부의 300억 원 규모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사업’에서 탈락한 바 있다. 이 역시 지역 국회의원들이 광주를 염두에 두고 제안한 사업이었음에도 수도권 중심 개발 논리에 밀려 경기도가 최종 선정됐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분산화 정책이 현실화할 경우 그동안 키워 온 광주의 AI 산업 기반이 수도권으로 흡수되는 ‘빨대 효과’까지 우려된다. 따라서 이용섭 시장이 “코끼리가 크다고 두 마리로 나누면 모두 죽는다”며 항변한 것도 무리는 아니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각한 미래 신산업은 앞으로 지방에서 집중 육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당장 AI 산업 전국 분산화 계획을 철회하고 광주를 집중 지원하는 것이 마땅하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