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폭염에 사회적 약자 피해 없도록
2021년 07월 16일(금) 01:00 가가
광주·전남 지역 기온이 연일 32도를 웃돌면서 어제까지 폭염특보가 일주일째 이어졌다. 다음 주부터는 장마가 끝나고 찜통더위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여 인명 피해 예방 등 폭염 대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6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전남 지역에서는 모두 아홉 명이 온열 질환으로 숨졌다.(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이 질병관리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같은 기간 스물네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북 지역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광주의 경우 같은 기간 네 명의 온열 질환 사망자가 발생했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해 8월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폭염이 무려 10일째 이어지면서 100명을 웃도는 온열 질환자가 발생하는 등 지역민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기도 했다.
이상기후가 일상화되면서 폭염은 매년 되풀이 되고 있다. 이제는 폭염도 자연재해로 규정, 방재 수준의 제도적이고 항구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폭염에 의한 피해는 기상재해로 인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소홀히 다뤄 온 게 사실이다. 하지만 1901년에서 2008년까지 발생한 우리나라의 태풍·대설 등 모든 기상재해에 기인한 연간 사망자 수 가운데 폭염으로 인한 사망이 가장 많았다는 연구 결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폭염 대책 중 하나인 지자체의 특보 발령만으로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보다 보다 세심한 행정이 필요하다. 특히 택배 근로자나 건설 현장 노동자들의 작업 환경을 점검하는 등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을 펴야 한다. 열악한 환경 속에 냉방기기 사용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취약 계층 노인이나 장애인들 역시 온열 질환의 위험에 놓이지 않도록 살펴야 한다. 특히 노인 인구가 많은 전남 지역의 경우 폭염으로 인명 피해가 나지 않도록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지난 2016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전남 지역에서는 모두 아홉 명이 온열 질환으로 숨졌다.(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춘식 의원이 질병관리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같은 기간 스물네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경북 지역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광주의 경우 같은 기간 네 명의 온열 질환 사망자가 발생했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해 8월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폭염이 무려 10일째 이어지면서 100명을 웃도는 온열 질환자가 발생하는 등 지역민의 건강을 크게 위협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