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국제안전도시’ 걸맞은 내실 갖춰야
2021년 07월 09일(금) 01:00
최근 ‘학동 참사’ 등 대형 사고로 광주시가 ‘국제안전도시’ 재인증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제안전도시는 ‘모든 사람은 건강하고 안전한 삶을 누릴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는 WHO 선언을 구현하기 위해 1989년부터 시작한 안전증진사업이다. ‘국제안전도시’로 인증되면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도시브랜드 가치 증대로 국제행사나 해외 관광객 유치, 글로벌 도시마케팅 등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주시는 2016년 국제안전도시공인센터(ISCCC)로부터 국제안전도시로 공인받았다. 공인 5년째인 올해 9월 1차 국내 심사에 이어 내년 2~3월까지 최종 국제심사를 거치는 등 재인증 절차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재인증을 장담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최근 학동 건물 붕괴 참사에 이어 도심 하천 초등학생 두 명 익사사고 등 후진국형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광주 북구 스쿨존에서 화물차가 일가족을 덮쳐 3세 여아와 30대 어머니가 숨지기도 했다. 광주와 사례는 다르지만 국제안전도시 인정 절차가 워낙 까다로운 탓에 실제 안전국가 이미지가 강한 일본의 고베시 등도 탈락의 수모를 겪었다. 수원시도 재인증 과정에서 탈락한 바 있다.

그런 만큼 광주시는 이번 국제안전도시 재인증을 앞두고 그동안의 사고를 교훈 삼아 지금까지 추진해 온 안전 인프라와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 안전문화 333운동과 시민안전교육센터, 방재대학 운영 등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안전시책 등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 시행할 필요가 있다.

시민의 생명을 지키고 안전한 삶을 누리도록 하는 일은 자치단체의 기본 책무다. 광주시는 앞으로 보다 시민들의 안전에 힘을 쓰는 한편 국제안전도시 재인증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