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안전 위협 건설현장 아직도 이리 많다니
2021년 06월 22일(화) 01:00 가가
건축물 부실 해체와 붕괴 위험 등으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대규모 건설 현장이 광주 지역에만 20여 곳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동 재개발구역 철거 건물 붕괴 참사’에도 불구하고 안전 조치를 소홀히 한 채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사업장이 적지 않은 것이다.
광주시는 학동 참사 이후 지난 14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예정으로 5개 자치구 및 산하 기관과 함께 전문가들을 동원, 재난 취약 시설 1만 4533곳에 대해 특별 안전 점검을 하고 있다. 현재 전체 사업장의 40%(5800개소)에 대한 안전 점검을 마쳤는데, 시는 중간 결과를 토대로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대규모 건설 현장 일곱 곳에 대해 공사를 중지시키고 개선이 필요한 18개소는 현장에서 시정 조치를 내렸다.
공사중지 명령을 받은 현장은 17명의 사상자를 낸 학동 4구역은 물론 주월 장미·운암 3단지 아파트 등 재개발·재건축 구역 세 곳, 동명동·백운동·산정동 해체 현장, 남구 수박등 주택건설 현장 등이다. 특히 학동 4구역은 아직도 철거되지 않은 건물이 여섯 동 남아 있으며, 운암 3단지는 해체계획서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해체 공사가 이뤄지고 있었다. 또 남구 수박등 주택건설 현장은 철거 공사 후 깎아 낸 흙의 비탈면 안전 조치가 미흡해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붕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하지만 이번 점검은 지난 4월 계림동에서 철거 작업 중이던 건물이 무너져 두 명이 목숨을 잃는 등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도 이후 광주시가 이렇다 할 사고 방지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는 점에서 ‘뒷북 행정’ ‘책임 떠넘기기’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이제 광주시는 적발된 대규모 건설 현장의 위험 요인이 확실하게 개선되기 전까지는 공사를 재개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장마철이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붕괴 우려가 있는 공사장 등은 즉시 개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점검하게 될 사업장에 대해서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치밀하게 확인한 뒤 선제적 조치를 취함으로써 안전사고 재발을 막아야 할 것이다.
공사중지 명령을 받은 현장은 17명의 사상자를 낸 학동 4구역은 물론 주월 장미·운암 3단지 아파트 등 재개발·재건축 구역 세 곳, 동명동·백운동·산정동 해체 현장, 남구 수박등 주택건설 현장 등이다. 특히 학동 4구역은 아직도 철거되지 않은 건물이 여섯 동 남아 있으며, 운암 3단지는 해체계획서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해체 공사가 이뤄지고 있었다. 또 남구 수박등 주택건설 현장은 철거 공사 후 깎아 낸 흙의 비탈면 안전 조치가 미흡해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붕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