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사회적 거리 두기’ K방역 모델 됐다
2021년 06월 18일(금) 01:00
광주시가 민관 협치형 ‘자율참여 책임방역제’를 시행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코로나19 방역에 자신이 있다는 방증일 것이다. 시가 지난 7일부터 시작한 책임방역제는 식당·카페·노래방 등 유흥시설의 영업을 24시간 허용하는 대신 방역 의무를 강화한 것이다. 코로나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을 믿고 영업시간 제한을 풀어주는 만큼 책임감을 갖고 자율적으로 방역 의무를 다하라는 취지다.

유흥시설 영업주나 종사자들은 2주마다 진단 검사를 받아야 하고 방역 수칙 위반으로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최소 3주간 영업을 중단하기로 약속했다. 자율참여 책임방역제는 민관협치의 성공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상무지구 등지에선 상인들이 스스로 ‘방역 수칙 위반 시 가게 문을 닫겠다’며 자체 방역 시스템까지 가동할 정도로 의욕을 보이며 정책에 호응하고 있다고 한다.

처음에는 ‘광주만 너무 앞서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이 있었지만 확진자가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우려했던 유흥업소의 방역 수칙 위반에 따른 감염 사례도 나오지 않고 있어 일단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도 도입 후 상인들의 매출 상승 효과까지 이어지고 있다니 ‘광주형 사회적 거리 두기’가 K방역의 모델이 될 만하다.

광주시는 이러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오늘부터 사적 모임을 현재 4인에서 8인까지 허용하기로 했다. 이는 광역시 가운데서는 처음으로, 1일 확진자 수가 한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광주 지역 백신 접종률이 전국 17개 시도 중 최고를 기록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이제 서울 등 타 지역 자치단체들이 앞다퉈 광주형 사회적 거리 두기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니 반가운 일이다. 그렇더라도 방심하다간 한순간에 확산되는 것이 코로나인 만큼 마스크를 벗는 날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