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에만 급급하는 골프장 ‘해도 너무 한다’
2021년 05월 25일(화) 01:20
코로나19로 전 국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골프장만 유독 호황을 누리고 있다. 해외여행이 어려워지면서 골퍼들이 비교적 안전하다는 인식이 있는 국내 골프장으로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틈을 타 골프장들이 그린피(입장료) 등 이용 요금을 앞다퉈 올리고 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1년간(2020년 5월∼2021년 5월) 호남권 골프장 입장료는 주중 19.3%, 주말에는 15.4%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해남 A골프장의 경우 1년 전만 하더라도 주말 1인당 요금이 18만~23만 원 정도였으나 현재 29만 5000원으로 30%가량 올랐다고 한다. 카트비 등을 제외한 순수 그린피만 해도 평일 22만 원, 주말 25만 원 수준이다.

그린피뿐만 아니라 카트 비용도 올랐으며, 도우미(캐디) 이용 요금을 슬그머니 1만 원가량 올린 곳도 많다. 무안의 B골프장은 카트 비용을 지난해 4만 원에서 연말에 8만 원으로 올렸다. 이러다 보니 대중제(퍼블릭) 골프장도 이용하기가 만만치 않은데, 광주·전남 지역 골프장 39곳 중 82%인 32곳이 회원제보다 높은 이용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 이들 골프장들은 정부의 골프 대중화 조치로 각종 세제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정작 가격 통제가 이뤄지지 않다 보니 수익에만 급급해 이용 요금을 올리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골퍼들만 봉 아니냐’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골프장들의 폭리를 고발하는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이 같은 골프장 폭리를 계속해서 방치할 경우 골프는 다시 상류층만의 스포츠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당국은 폭리 횡포를 부리고 있는 골프장 운영을 적절히 통제해 ‘대중제 체육시설’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살려 내야 할 것이다. 정부와 해당 지자체들의 점검과 단속이 시급하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