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권 의대 설립 논의 조속히 재개해야
2021년 05월 24일(월) 02:30 가가
전남 도민의 30년 숙원인 ‘전남권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논의가 실종됐다. 지난해 당정이 발표한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이 의사단체 반발에 밀려 ‘원점에서 재검토’로 뒷걸음질한 이후 전혀 진척이 없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현 정부에서도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7월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 의대 신설 방안을 내놓았다. 이에 대해 의사단체는 파업까지 불사하며 거세게 반발했고 결국 두 달 후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는 코로나19 안정화 이후 의정협의체에서 해당 정책을 협의하기로 했다. 이후 최근까지 일곱 차례나 의정협의체가 열렸지만 의대 정원 확대는 안건에도 오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의사단체의 끈질긴 반대 탓이다.
애초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가장 호응했던 지역은 전남이다. 전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곳이 전남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이 지역에서는 1990년부터 의과대학 유치 운동을 줄기차게 펼쳐 왔다. 하지만 이명박·박근혜 대통령은 후보 시절 의대 신설을 대선 공약으로 내놓고도 집권 후에는 모두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현 정부에서도 기대만 키웠다가 또다시 무위로 돌아가는 양상이다. 이에 전남도 등 지자체는 꺼져 가는 불씨를 살려 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엊그제 목포에서 열린 토론회에서도 전문가들은 “전남은 고령자와 도서 지역이 많고 의료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이 광범위하게 존재한다”며 전남권 공공 의대 설립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전남의 취약한 의료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 대학을 졸업하고 수련을 받은 의사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만드는 게 필수적이다. 특히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 의료체계 강화와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의료계와 의대 신설 논의를 조속히 재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남의 취약한 의료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 대학을 졸업하고 수련을 받은 의사가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만드는 게 필수적이다. 특히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이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 의료체계 강화와 지역 간 의료 불균형 해소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의료계와 의대 신설 논의를 조속히 재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