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트라우마센터 방향 재설정 필요하다
2021년 05월 21일(금) 03:00
5·18 41주년을 맞아 국가폭력 피해자들에 대한 트라우마 치료와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치유센터’의 역할을 재점검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5·18기념재단은 그제 개최한 ‘2021 광주민주포럼’에서 국가폭력과 트라우마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날 주요 의제는 광주에 들어설 예정인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영할 것인지’였다. 지난 2012년부터 광주트라우마센터를 운영 중인 광주시는 국립 트라우마센터 유치에 성공했지만, 옛 국군 광주병원에 건립한다는 계획만 세웠을 뿐 아직 구체적인 운영 방안은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 만큼 국립 트라우마센터의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도 전문가들이 이번 포럼에서 제시한 의견은 의미 있게 받아들일 만하다.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등 전문가들은 무엇보다도 국립 센터가 기존 광주센터의 역할을 약간 확장하는 수준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당연한 지적으로, 국립으로 운영되는 만큼 5·18뿐만 아니라 제주 4·3사건, 여순사건, 부마항쟁 등 국가폭력으로 인한 피해자들의 트라우마 치료를 위해 센터로 거듭나야 한다.

국가폭력 피해자의 치유와 재활 사업은 물론 치유 역량 및 전문성 강화 사업도 병행해야 한다. 그동안 광주센터가 치중해 온 임상 중심적 혹은 개인 차원의 치유에서 더 나아가 사회문화적·통시적 차원까지를 고려한 집단 트라우마 치유 개념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치유 과정 중에 생존자들이 사회적 관계를 적극적으로 맺을 수 있는 치유 공간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국립 트라우마센터 설립 근거인 법률안이 아직 국회에 계류 중인 만큼 하루빨리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센터가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공동체 복귀와 소통을 위한 치유 공간이 되도록 역량을 모아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