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자전거 느는데 안전사고 대책이 없다
2021년 05월 21일(금) 01:00 가가
공유형 자전거 등이 크게 늘어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광주의 자전거 인프라는 취약한 실정이다. 공유 전기 자전거는 세무서에 사업자등록만 하면 별다른 허가 절차 없이 운영할 수 있어 앞으로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미 전동킥보드가 폭넓게 보급된 상황에서 이제 광주는 ‘두 바퀴’ 운송수단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IT 그룹인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광주 전 지역에서 공유형 전기 자전거 서비스인 ‘T-바이크’ 운영에 들어갔다. 현재 광주에서 500여 대가 운행되고 있는 T-바이크는 전동킥보드처럼 정해진 보관소 없이 어디에서든 휴대전화 앱만으로 이용할 수 있다. 킥보드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짐을 실을 수 있어 1시간 이용하는 데 6000원을 내야 하지만 이용자들이 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광주의 자전거 전용도로 등 안전 인프라는 극히 취약하다. 자전거 도로가 없는 곳도 많은 데다 무늬만 자전거 도로인 곳도 적지 않다. 전체 자전거 도로는 661.39㎞(2019년 기준)로, 전용도로(자전거만 통행가능)는 128.64㎞, 자전거 전용차로(차도 일부중 자전거만 통행가능)는 12.58㎞에 불과하다. 광주시는 이런 사정 때문에 공공 자전거 ‘타랑께’를 도입했음에도 상무지구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유 자전거나 킥보드는 도시 오염을 줄이는 미래 운송수단이지만 자전거 전용도로 확대 등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광주시는 자전거 이용자는 물론 보행하는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킨다는 대전제하에 안전 인프라 구축에 보다 과감하게 예산을 투입할 필요가 있다. 자전거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물론 법규 준수와 헬멧 착용 등 운전자들 안전의식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