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위기 처한 지역 대학 살릴 방안 마련을
2021년 05월 14일(금) 01:00
광주시가 광주시교육청 및 이 지역 17개 대학과 함께 지방대학 살리기에 나섰다. 신입생 미달 사태가 현실이 되는 등 지방대학 고사 위기가 닥쳐옴에 따른 공동 대응이다.

광주시는 우선 공동 대응의 일환으로 대학발전 협력단(협력단)을 출범시켰다. 협력단에는 광주시, 시의회, 시교육청, 그리고 지역의 17개 대학이 참여했다. 협력단은 신입생 미충원과 취업난 등 현안과 관련해 대학별 특성에 맞는 경쟁력 제고 방안을 함께 찾고 장단기 과제를 발굴해 연차별 추진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이나 미래 차, 신재생에너지 등 지역 주력 산업과 연계한 맞춤식 직업 교육 체제 구상, 법·제도 개선, 공공기관과 기업의 지역 인재 취업률 제고, 정부 공모 사업 발굴, 신입생(유학생) 유치 지원 등도 추진한다.

이처럼 지역 공동체가 손을 마주 맞잡은 것은 지방대 위기가 생각보다 심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월 광주 지역 4년제 주요 대학들에서는 2021학년도 신입생 정원 미달 사태가 속출했다. 전남대 광주 용봉캠퍼스의 경우 83개 학과 중 사범대학 일부 등 4개 학과가 정원에 미달했다. 조선대는 총 76개 학과 중 42.1%인 32개 학과가 정원을 채우지 못했으며 호대는 총 40개 학과 중 절반가량인 18개 학과가 미달했다.

학령인구(學齡人口) 감소와 수도권 대학 학생 쏠림 현상으로 지방대가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경고등은 수년 전부터 켜진 상태였다. 대학들이 예견된 위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채 안일했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는 대목이다.

이제 대학들은 경쟁력 강화와 취업률 높이기 등 특단의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협력단은 대학이 지역의 거점이며 대학의 침체나 폐교는 지역 사회 발전 축을 무너뜨린다는 점을 감안, 지역 역량 결집과 함께 대학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온갖 방안을 짜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