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 공공기관 첫 ‘공공디자이너’ 도입
2021년 04월 06일(화) 17:10 가가
장영호 교수·최령 센터장 초대 선임
한국농어촌공사는 공공시설물 계획 수립과 설계 시공단계에 전문가가 참여하는 농산어촌 ‘공공디자이너 제도’를 도입했다고 6일 밝혔다.
광역지자체 등에서는 공공건축가 제도를 시행해 오고 있지만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이다.
공공디자이너는 앞으로 농산어촌에서도 다기능 고품질의 공공시설물을 접할 수 있도록 공공건축 관련 기획 및 계획을 전문적으로 총괄·조정·자문한다.
초대 총괄 디자이너로는 장영호 홍익대학원 산업미술대학원 공공디자인전공 교수, 최령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장이 임명됐다.
전국 9개도에서 활동 중인 외부전문가와 내부전문인력 40명을 자문단 위원으로 구성하고, 공공건축 기획이 예정된 사업대상지구 9곳에서 시범 운영된다.
공사 관계자는 “공공시설물은 주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으로서 삶의 질 향상과 지역문화 형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시설인 만큼, 이번 제도 도입으로 농어촌 공공건축의 사회적 가치 향상과 디자인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광역지자체 등에서는 공공건축가 제도를 시행해 오고 있지만 공공기관으로는 처음이다.
초대 총괄 디자이너로는 장영호 홍익대학원 산업미술대학원 공공디자인전공 교수, 최령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센터장이 임명됐다.
전국 9개도에서 활동 중인 외부전문가와 내부전문인력 40명을 자문단 위원으로 구성하고, 공공건축 기획이 예정된 사업대상지구 9곳에서 시범 운영된다.
공사 관계자는 “공공시설물은 주민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으로서 삶의 질 향상과 지역문화 형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시설인 만큼, 이번 제도 도입으로 농어촌 공공건축의 사회적 가치 향상과 디자인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