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농촌인력중개센터 35곳 운영…1곳당 5700명 목표
2021년 03월 08일(월) 18:41 가가
전남지역에서는 올해 근로인력 알선·중개를 담당하는 농촌인력중개센터가 35곳 운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8일 농번기(4∼6월) 인력지원대책을 발표하며, 전남에서는 20개 시·군 35개 농촌인력센터가 운영된다고 밝혔다.
1개소당 알선·중개 목표로 둔 인력은 연간 5700명으로, 총 19만9500명의 인력을 확보하게 된다.
농식품부 측은 “올해부터 지자체와 농협 외 민간에서도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운영할 수 있게 됐다”며 “전남지역 운영 센터 수는 줄었지만 중개 목표 인력은 늘었다”고 말했다.
전국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지난해 219개보다 20개 늘어난 239개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지난해보다 30% 많은 연간 136만명의 인력을 중개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올해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이 제한되면서 농번기 인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농번기(4∼6월) 인력지원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농식품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이달부터 농업인력지원상황실을 설치해 필요한 인력 수요를 파악한다.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해 들어온 농작업 참여자에게는 교통비, 숙박비, 보험료 등을 지원한다.
또 도시민이 더욱 쉽게 농업 분야에 유입될 수 있도록 파견근로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파견업체가 도시 구직자를 채용한 후 시설원예 등 상시 일자리 보유 농가에 1∼3개월간 인력을 파견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파견 수수료, 4대 보험료 본인부담금 등을 지원한다.
법무부와 협조해 소규모 영세농가나 일시적·간헐적으로 인력이 필요한 농가에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파견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추후 코로나19 방역이 우수한 교류 확대 가능국으로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들어오는 것에 대비해 지자체별로 격리시설과 숙박시설을 확보하고 방역물품을 공급하는 등 방역체계 구축도 유도한다.
관계 부처와 협조해 코로나19로 인해 출국하지 못하고 출국기한유예 등을 허가받은 국내 체류 외국인에 대해서는 한시적인 계절근로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농림축산식품부는 8일 농번기(4∼6월) 인력지원대책을 발표하며, 전남에서는 20개 시·군 35개 농촌인력센터가 운영된다고 밝혔다.
1개소당 알선·중개 목표로 둔 인력은 연간 5700명으로, 총 19만9500명의 인력을 확보하게 된다.
전국 농촌인력중개센터를 지난해 219개보다 20개 늘어난 239개소를 설치하기로 했다. 지난해보다 30% 많은 연간 136만명의 인력을 중개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올해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이 제한되면서 농번기 인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농번기(4∼6월) 인력지원대책을 선제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해 들어온 농작업 참여자에게는 교통비, 숙박비, 보험료 등을 지원한다.
파견업체가 도시 구직자를 채용한 후 시설원예 등 상시 일자리 보유 농가에 1∼3개월간 인력을 파견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파견 수수료, 4대 보험료 본인부담금 등을 지원한다.
법무부와 협조해 소규모 영세농가나 일시적·간헐적으로 인력이 필요한 농가에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파견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추후 코로나19 방역이 우수한 교류 확대 가능국으로부터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들어오는 것에 대비해 지자체별로 격리시설과 숙박시설을 확보하고 방역물품을 공급하는 등 방역체계 구축도 유도한다.
관계 부처와 협조해 코로나19로 인해 출국하지 못하고 출국기한유예 등을 허가받은 국내 체류 외국인에 대해서는 한시적인 계절근로 활성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