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 의혹 풀 중요한 단서 나왔다
2021년 02월 19일(금) 05:00 가가
1980년 5·18 당시 특전사와 보안사가 암매장 사체처리반을 운용했다는 사실이 확인돼 5·18 행방불명자에 대한 진상 규명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와 함께 암매장 사체처리반 요원들의 인적 사항도 확보했다고 한다.
광주일보가 조사위 관계자를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당시 특전사와 보안사가 가매장됐던 희생자들을 따로 처리하는 ‘사체처리반’을 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위는 과거 검찰 조사 결과 등을 통해 보안사가 사체처리반을 운용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들의 인적 사항까지 확보했다고 밝혔다.
보안사 사체처리반 요원들은 가매장을 했던 당시 진압군 등을 상대로 현장을 확인하고 사체를 다른 곳으로 이동·처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특히 가매장했던 진압군을 찾아 ‘보고했던 사체 수가 맞지 않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희생자들을 다른 곳으로 옮겨 암매장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
정부가 인정한 5·18 당시 행방불명자는 84명이지만 신고된 인원은 448명에 달해 5·18 진상규명 차원에서 실체적 진실 확인이 반드시 필요한 사안이다. 그동안 보안사와 특전사의 사체처리반 운용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몇몇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에서 희생자들의 유골이 나오지 않은 이유가 사체처리반이 암매장된 희생자들을 광주가 아닌 다른 지역에서 비밀리에 화장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조사위는 사체처리반 운용 확인과 요원들의 인적 사항 확보를 계기로 암매장에 대한 진실 규명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관건은 군사안보지원사령부(당시 보안사)와 국가정보원에 있는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다행히 두 기관에 사체처리반 운용 관련 자료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보다 적극적으로 정부 당국의 협조를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보안사 사체처리반 요원들은 가매장을 했던 당시 진압군 등을 상대로 현장을 확인하고 사체를 다른 곳으로 이동·처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특히 가매장했던 진압군을 찾아 ‘보고했던 사체 수가 맞지 않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희생자들을 다른 곳으로 옮겨 암매장했을 가능성을 말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