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인한 학습 격차 더 벌어지지 않도록
2021년 02월 08일(월) 04:00 가가
코로나19 사태로 공교육 현장에서 원격수업이 장기화되면서 학부모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다. 대면수업을 받지 못하는 가운데 기초 학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학습 격차가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녀들의 학습 부진을 우려한 일부 학부모들은 방학을 맞아 고액의 유명 온라인 강좌나 과외 등을 택하기도 하지만 늘어나는 사교육비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이마저도 할 수 없는 학부모들은 남몰래 한숨을 지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면수업을 받지 못해 학습 격차가 심해질 것으로 우려되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비 지원 등의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학교 내 집단 감염 우려로 학교 교육이 대폭 축소되면서 사교육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사실은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확인된다. 한국교육개발원 ‘2020 교육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초·중·고생이 받는 사교육이 최근 2~3년 내 어떻게 변했느냐’는 질문에 42.8%가 ‘심화됐다’고 답했다. 교육계에서는 올해도 코로나 사태가 획기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한 사교육비 증가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교육계 일각에서는 코로나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증가하는 사교육 의존성을 막기 힘들다면, 거꾸로 학습 격차를 해소하는 데 사교육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경제적 형편이 어려워 사교육을 받을 기회조차 없는 학생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교육이 코로나 비상 상황에서 불가피한 것이라면 방역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선에서 지역아동센터 등으로 학생들을 불러 학습을 도와주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겠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의 말처럼 ‘교육바우처’를 지급하고 학원을 이용해 온라인 학습 약자를 지원하는 방안 등도 고려할 만하다.
물론 자녀들의 학습 부진을 우려한 일부 학부모들은 방학을 맞아 고액의 유명 온라인 강좌나 과외 등을 택하기도 하지만 늘어나는 사교육비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이마저도 할 수 없는 학부모들은 남몰래 한숨을 지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대면수업을 받지 못해 학습 격차가 심해질 것으로 우려되는 학생들에 대한 교육비 지원 등의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