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비상 속 공무원들 음주 모임이라니
2020년 12월 18일(금) 04:00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1000명을 넘나들 정도로 확산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그런데도 일부 공무원들이 음주 모임을 갖는 등 기강 해이가 도를 넘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지난 12일 1000명을 넘어선 이후 16일까지 세 차례나 1000명 선을 넘는 등 가파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광주에서도 12월 들어 하루 평균 7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광주시는 ‘3차 대유행’을 막기 위해 수능 시험일인 지난 3일 사회적 거리 두기를 2단계로 격상하면서 6일까지 4일간 소위 ‘100시간 멈춤 운동’을 제안하고 시민들에게 불필요한 모임 자제 등을 당부하기도 했다.

아울러 본청과 5개 구청 및 시 산하 공공기관 직원 등 1만3000여 명에 대해서는 모든 모임을 전면 금지하는 비상명령을 발동했다. 하지만 모범을 보여야 할 광주시청 일부 간부 공무원들은 시장의 비상 명령을 어기고 연말 음주 모임을 가져 물의를 빚었다. 특히 4급 모 과장이 속한 부서는 시청 인근 식당에서 저녁 모임을 가졌는데 일부 직원들이 만취할 정도로 술을 마셨다고 한다. 시청 간부 공무원들의 음주 사례는 이밖에도 심심찮게 목격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공직사회의 기강 해이는 음주 모임에 그치지 않고 금품 수수설까지 나돌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광주시는 최근 내부 청렴도 조사를 실시했는데 “동료 공무원이 금품을 받은 사실을 알고 있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했다. 광주시가 뒤늦게 내부 감사를 하겠다고 나섰지만 한번 해이해진 기강이 바로잡힐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일이다. 광주시는 국민권익위 청렴도 조사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솔선수범해야 할 공직자들이 이처럼 해이한 모습을 보인다면 공직 사회에 대한 신뢰도는 기대할 수 없다. 지금부터라도 초심으로 돌아가 자중해야 할 것이다.
오피니언더보기

기사 목록

광주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